본문 바로가기

좋은 글

(36)
[논어] 顔淵(안연)편 - 인에 대해 탐구하려면 1 顔淵問仁, 子曰: "克己復禮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顔淵曰: "請問其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 안연문인, 자왈: "극기복례위인. 일일극기복례, 천하귀인언. 위인유기, 이유인호재?" 안연왈: "청문기목." 자왈: "비례물시, 비례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 안연왈: "회수불민, 청사사어의." 안연이 인에 관하여 여쭈어보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기 자신을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이다. 어느 날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게 되면 온 천하가 이 사람을 어질다고 할 것이다. 인을 행하는 것이 자기 자신에게 달려 있지 남에게 달려 있겠느냐?" 안연이 "부디 그 세목을 여쭈어보겠습니다" 하자 공자께서..
[논어] 先進(선진)편 - 자기 앞의 삶을 마주하려면 1 子曰: "先進於禮樂, 野人也; 後進於禮樂, 君子也. 如用之, 則吾從先進." 자왈: "선진어례악, 야인야; 후진어례악, 군자야. 여용지, 즉오종선진."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벼슬하기 전에 먼저 예악으로 나아가 그것을 습득하는 쪽은 평민이고, 일단 벼슬한 다음 나중에 예악으로 나아가는 쪽은 경대부의 자제이다. 이들을 등용한다면 나는 먼저 예악에 나아간 쪽을 선택하겠다." 1) 先進於禮樂, 野人也(선진어례악, 야인야): (벼슬하기 전에) 먼저 예악으로 나아가는 것은 평민이다. 평민은 음덕(蔭德)이 없으므로 벼슬하기 전에 먼저 예악을 습득하여 그것으로 벼슬을 얻었다는 말이다. 이 장에 대해서는 이설이 매우 많은데 청나라 유보남(劉寶南)의 설이 가장 타당하므로 그의 설을 따랐다. 2) 君子(군자): 경대부(..
[논어] 鄕黨(향당)편 - 항상 깨어 있으려면 1 孔子於鄕黨, 恂恂如也, 似不能言者. 其在宗廟朝廷, 便便言, 唯謹爾. 공자어향당, 순순여야, 사불능언자. 기재종묘조정, 변변언, 유근이. 공자께서 마을에 계실 때는 공손하고 조심스러우셔서 마치 말을 할 줄 모르는 것 같았고, 그가 종묘와 조정에 계실 때는 분명하고 유창하게 말을 잘하셨지만 다만 신중하게 했을 따름이다. 1) 孔子於鄕黨(공자어향당): 공자가 마을에 있다. • 於(어): '처하다, 존재하다'라는 뜻의 동사. • 鄕黨(향당): 원래 12,500호가 鄕(향), 500호가 黨(당)이지만 여기서는 합쳐서 마을이라는 뜻이다. 2) 恂恂如也(순순여야): 공손하고 조심스럽다. • 恂恂(순순): 공손하고 두려워하는 모양. • 如(여): 형용사 접미사. • 也(야): 판단 또는 진술의 어기를 표시하는 어기..
[논어] 子罕(자한)편 - 덕과 노력을 쌓으려면 1 子罕言利與命與仁. 자한언리여명여인. 공자께서는 공리와 운명과 인에 대해서는 별로 언급하지 않으셨다. (공자는 공리주의와 운명론을 싫어했기 때문에 이를 자주 언급하지 않았고, 인이란 구체적으로 꼬집어서 말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이에 관하여 설명하기를 꺼렸다. "선생님께서 인간의 본성과 천도에 관하여 언급하시는 말씀은 들을 수가 없었다"라는 「공야장편 13」의 말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1) 罕言(한언): 드물게 말하다. 2 達巷黨人曰: "大哉孔子! 博學而無所成名." 子聞之, 謂門弟子曰: "吾何執? 執御乎? 執射乎? 吾執御矣." 달항당인왈: "대재공자! 박학이무소성명." 자문지, 위문제자왈: "오하집? 집어호? 집사호? 오집어의." 달항 고을의 어떤 사람이 말했다. "위대하도다 공자여! 그러나 ..
[논어] 泰伯(태백)편 - 이상적인 정치를 이루려면 1 子曰: "泰伯其可謂至德也已矣! 三以天下讓, 民無得而稱焉." 자왈: "태백기가위지덕야이의! 삼이천하양, 민무득이칭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태백은 틀림없이 지극한 덕을 지닌 인물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세 차례나 천하를 양보했는데도 백성들이 그를 칭송할 길이 없을 정도로 은밀하게 하였으니까." 1) 泰伯(태백): 주나라 문왕의 백부. 太白(태백)으로도 쓴다. 주나라의 조상인 태왕(太王), 즉 고공단보(古公亶父)에게는 태백(泰伯)·중옹(仲雍)·계력(季歷) 등의 세 아들이 있었다. 태백은 장남이었기 때문에 주나라의 왕위 계승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고공단보는 막내아들 계력(季歷)의 아들 창(昌: 나중의 文王(문왕))이 천하를 평정할 뛰어난 인물임을 알고 계력에게 왕위를 전하고 싶어했다. 이것을 눈치챈..
[논어] 述而(술이)편 - 겸손한 태도로 학문에 임하려면 07‧01 子曰: “述而不作, 信而好古, 竊比於我老彭.” 자왈: "술이부작, 신이호고, 절비어아로팽." 선생 “옮기기만 했지 창작하지는 않았고, 옛 것을 그대로 믿고 좋아함은 은근히 우리 노팽님에게나 비교해 볼까 한다.” 1) 述而不作(술이부작): 진술하고 새로이 짓지 않다. 자신이 배운 옛날의 학술 사상을 진술하여 후세에 전수할 뿐 스스로 새로운 이론을 창작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2) 竊比於我老彭(절비어아로팽): 속으로 (자신을) 우리 노팽에게 비기다. • 竊(절): '몰래, 마음속으로'라는 뜻의 부사. • 我老彭(아로팽): 우리 노팽. 노팽이 누구냐에 대해서는, 은나라의 대부로 옛날 일을 즐겨 이야기했다는 노팽이라는 설, 공자가 예에 관하여 질문했다는 노담(老聃) 즉 노자라는 설, 노자와 팽조(彭祖..
[논어] 雍也(옹야)편 - 군자의 마음가짐을 배우려면 06‧01 子曰: "雍也可使南面." 자왈: "옹야가사남면. 1) 雍也可使南面(옹야가사남면): 옹은 (그로 하여금) 남면하게 할 만하다. • 雍(옹):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 성은 염(冉), 자는 중궁(仲弓)이고 雍(옹)은 그의 이름이다. 공자보다 29세 아래였다. • 也(야): 음절을 조정하고 어기를 고르는 어기조사. • 使(사): 다음에 雍(옹)을 가리키는 인칭대사가 생략되어 있다. • 南面(남면): 남쪽으로 향하다. 임금이 남쪽을 향해 앉아 정사를 돌봄을 뜻한다. 06‧02 仲弓問子桑伯子, 子曰: "可也. 簡."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 子曰: "雍之言然." 중궁문자상백자, 자왈: "가야. 간." 중궁왈: "거경이행간, 이림기민, 불역가호? 거간이..
[논어] 公冶長(공야장) - 올바른 덕을 실천하려면 05‧01 子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妻之. 자위공야장: "가처야. 수재류설지중, 비기죄야." 이기자처지. 선생이 공야장을 평하여 말하기를 “사위 삼음직하다. 묶여 간 일이 있기는 하지만 그의 죄는 아니었으니까”하고 그의 딸을 주어 사위를 삼았다. 선생이 남용을 평하여 말하기를 “나라의 질서가 섰을 때에 버림을 받지 않고, 나라의 질서가 문란할 때도 형벌을 면함직하다”하고 그의 형의 딸을 주어 조카사위를 삼았다.” 1) 子謂公冶長(자위공야장): 공자가 공야장을 평가하다. • 謂(위): 평가하다, 평론하다. • 公冶長(공야장): 공자의 제자. 노나라(일설에 제나라) 사람으로 성은 公冶(공야), 이름은 장(萇), 자는 자장(子長)이다. 2) 妻(처): (딸을) ~에게 시집보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