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48)
[006]철학사상가 인물 퀴즈 모음 #02 (난이도 있는 인문학 인물 퀴즈) *구글플레이에서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철학사상가들 : 알고 있으면 삶에 도움이 되는 철학 - Google Play 앱 이 앱은 평소 인문학, 철학, 윤리, 사상에 관심이 많은 분들과, 이제 막 입문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play.google.com * 정답은 더보기 클릭후 확인해 주세요! #철학자 1. 이 인물은 중국 고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이다. 그는 주나라의 쇠퇴를 한탄하고 은퇴할 것을 결심한 후 서방(西方)으로 떠났다. 그 도중 관문지기의 요청으로 상하 2편의 책을 써 주었다고 한다. 이것을 《○○》라고 하며 《도덕경(道德經)》이라고도 하는데, 도가사상의 효시로 일컬어진다. 이 인물은 누구일까? 더보기 정답 : 노자 명 이이(李耳). 자 담(聃). 노담(老聃)이라고도 한다..
[005]철학사상가 인물 퀴즈 모음 #01 (난이도 있는 인문학 인물 퀴즈) *구글 플레이에서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철학사상가들 : 알고 있으면 삶에 도움이 되는 철학 - Google Play 앱 이 앱은 평소 인문학, 철학, 윤리, 사상에 관심이 많은 분들과, 이제 막 입문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play.google.com * 정답은 더보기 클릭후 확인해 주세요! #철학자 1. 이 인물은 그리스 최초의 철학자이며, 7현인(七賢人)의 제1인자이며 밀레토스학파의 시조이다. 만물의 근원을 추구한 철학의 창시자이며 그 근원은 ‘물’이라고 하였다. 물을 생명을 위하여 불가결한 것으로 보았다. 변화하는 만물에 일관하는 본질적인 것을 문제삼은 데 그의 공적이 있는 이 인물은 누구일까? 더보기 정답 : 탈레스 소아시아의 그리스 식민지 밀레토스 출생이다. 페니키아인의 혈통이며, ..
[075]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유퀴즈'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답은 더보기 클릭 후 확인해 주세요 1. 이것은 그리스어로 함정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에서 아프로디테가 외도를 하던 중 함정에 빠져 그물에 걸린 것에서 비롯되었는데요. 재위 기간 6번 결혼한 헨리 8세는 영국 역사상 가장 많은 이것을 일으킨 인물로 유명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스캔들 스캔들은 영어 'scandal'이 한국어권에 들어와 쓰이는 외래어이며, 본래 어원에 대해서는 '함정'을 뜻하는 그리스어인 'skándalon'이 변했다는 설이 있다.[2] 의옥(疑獄)이라고도 한다. 유죄인가 어떤가가 의심스러운 형사사건을 말한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사건은 증수뢰에 관한 것이 많으므로 전의(轉義)해서 정치..
[074]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유퀴즈'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답은 더보기 클릭 후 확인해 주세요 1. 이것은 세상을 보는 부처님의 다섯 가지 눈 중 사물을 꿰뚫어보는 눈을 뜻합니다. 불교에서는 모든 집착과 차별을 버리면 세상의 이치를 깨닫는 이것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흔히 앞을 내다볼 줄 아는 지혜로운 사람을 두고 '이것을 가졌다'라고도 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혜안 지혜의 힘으로써 우주적 진리와 인간 세상을 밝게 꿰뚫어보는 눈. 집착ㆍ차별ㆍ망집에 바탕한 생각을 버리고 우주의 대소유무의 이치와 인간의 시비이해의 일을 통찰하는 눈을 말한다. 소태산대종사는 선원에서 김기천의 성리 설하는 것을 듣고 “오늘 내가 비몽사몽간에 여의주를 얻어 삼산(三山)에게 주었더니 받..
[073]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유퀴즈'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답은 더보기 클릭 후 확인해 주세요 1. 조선 시대 과거 시험을 준비하던 선비들은 집 안에 이 동물이 그려진 그림을 걸어두었다고 합니다. 이 동물의 머리 부분이 벼슬 후 쓰는 관의 모양과 비슷해서 성공과 출세를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졌기 때문인데요. 이 동물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닭 닭은 십이지 가운데 열 번째 동물로 우리네 신앙 속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각양으로 응용되어 왔다. 닭과 관련된 고대 기록으로는 『삼국유사(三國遺事)』의 혁거세와 김알지 건국신화가 있다. 여기에서는 닭이 왕의 등극을 예견하는 상서로운 동물로 묘사된다. 조선시대에는 닭이 궁중 의례에서 상징적으로 인용된다. 조선왕조 왕과 왕비 신주를 모시는 ..
[072]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유퀴즈'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답은 더보기 클릭 후 확인해 주세요 1. 이것은 가슴이 후련할 만큼 통쾌하고 장한 행위라는 뜻인데요. 흔히 스포츠에서 선수나 팀이 목표했던 성과를 달성했을 때 이것이라 표현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쾌거 쾌거 快擧 : 통쾌하고 장한 행위. 2. 이것은 '거리와 요금을 기록한다'는 뜻의 독일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17세기 초 유럽에서 마차 형태로 이것이 처음 등장했는데요. 1891년 독일인 빌헬름 브룬이 요금 자동 표시기를 개발하며 본격적인 이것의 시대가 열렸다고 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택시 빌헬름 브룬(Wilhelm Bruhn)은 1853년 11월 11일 독일 뤼벡(Lübeck)에서 태어..
[논어] 公冶長(공야장) - 올바른 덕을 실천하려면 05‧01 子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妻之. 자위공야장: "가처야. 수재류설지중, 비기죄야." 이기자처지. 선생이 공야장을 평하여 말하기를 “사위 삼음직하다. 묶여 간 일이 있기는 하지만 그의 죄는 아니었으니까”하고 그의 딸을 주어 사위를 삼았다. 선생이 남용을 평하여 말하기를 “나라의 질서가 섰을 때에 버림을 받지 않고, 나라의 질서가 문란할 때도 형벌을 면함직하다”하고 그의 형의 딸을 주어 조카사위를 삼았다.” 1) 子謂公冶長(자위공야장): 공자가 공야장을 평가하다. • 謂(위): 평가하다, 평론하다. • 公冶長(공야장): 공자의 제자. 노나라(일설에 제나라) 사람으로 성은 公冶(공야), 이름은 장(萇), 자는 자장(子長)이다. 2) 妻(처): (딸을) ~에게 시집보내다,..
[논어]里仁(이인)편 - 생각과 처신을 가다듬으려면 04‧01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자왈: "리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선생 “사람 구실이란 집에서 사는 게 아름다운 것이다. 사람 구실이란 집을 골라 잠을 잘 줄 모르면 어찌 지혜롭다 하겠나?” 1) 里仁爲美(리인위미): 인에 사는 것이 좋다. • 里(리): 거주하다. 원래 '마을'이라는 뜻의 명사이나 여기서는 '마을로 삼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였다. • 爲美(위미): 아름다움이다, 아름답다, 좋다. • 爲(위): '~이다'라는 뜻의 동사. 뒤에 오는 형용사와 결합하여 '~하다'라는 뜻의 술어를 이룬다. 2) 擇不處仁(택불처인): 인에 처하지 않음을 선택하다. 仁(인)은 處(처)의 목적어이고 不處仁(불처인)은 擇(택)의 목적어이다. 3) 焉得知(언득지): (그것이) 어떻게 지혜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