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모음/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074]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반응형

*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유퀴즈'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 바로가기
앱 스토어 바로가기

 


* 정답은 더보기 클릭 후 확인해 주세요

 

1. 이것은 세상을 보는 부처님의 다섯 가지 눈 중 사물을 꿰뚫어보는 눈을 뜻합니다. 불교에서는 모든 집착과 차별을 버리면 세상의 이치를 깨닫는 이것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흔히 앞을 내다볼 줄 아는 지혜로운 사람을 두고 '이것을 가졌다'라고도 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혜안

 

지혜의 힘으로써 우주적 진리와 인간 세상을 밝게 꿰뚫어보는 눈. 집착ㆍ차별ㆍ망집에 바탕한 생각을 버리고 우주의 대소유무의 이치와 인간의 시비이해의 일을 통찰하는 눈을 말한다. 소태산대종사는 선원에서 김기천의 성리 설하는 것을 듣고 “오늘 내가 비몽사몽간에 여의주를 얻어 삼산(三山)에게 주었더니 받아먹고 즉시로 환골탈태하는 것을 보았는데, 실지로 삼산의 성리 설하는 것을 들으니 정신이 상쾌하다. 법은 사정(私情)으로 주고받지 못할 것이요, 오직 저의 혜안이 열려야 그 법을 받아들이나니, 용은 여의주를 얻어야 조화가 나고 수도인은 성품을 보아서 단련할 줄 알아야 능력이 나나니라”(《대종경》 성리품22)고 말했다.


2.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길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길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이것'의 힘이다."  이는 백범 김구 선생님이 쓴 <나의 소원>의 일부 구절입니다. 한 사회의 개인이나 집단이 변화시켜 온 물질적, 정신적 과정의 산물을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문화

 

1947년 발표한 김구의 정치철학과 사상을 밝힌 논문이다. 이 논문은 1947년 12월 15일 《백범일지》 국사원판 간행본을 간행할 때 김구가 특별히 그 말미에 부가한 것이다. 《백범일지》는 지난 1947년 처음 출간된 이래 1985년 교문사에서 다시 출간될 될 때까지 10여 개 출판사에서 27판을 거듭했다. 이 책의 판권을 관리하고 있는 백범 김구 기념사업회에서는 더 많은 사람에게 읽힐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하는 탓에 그 이후로는 이 책이 어디에서 나오건 저작권을 주장하지 않기로 하고 집계 작업조차도 중단하고 있다. 《백범일지》에 덧붙여 쓴 이 논문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려 ‘하나도 대한 독립, 둘도 대한 독립, 셋도 대한 독립’이라는 유명한 첫 구절을 인구에 회자시켰다. 이 논문은 우파 민족주의자로서, 자유주의자로서의 김구의 정치적 이념과 사상을 잘 드러낸 글로 평가받고 있다.


3. 이것은 '자극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말로 우리 몸의 각 기능을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해 주고 스트레스나 슬픔, 기쁨 등의 감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가을에 식욕이 왕성해지는 이유도 일조량 감소로 식욕을 억제하는 랩틴 이것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호르몬(hormone)

 

음식을 섭취하면 위에서 위산이 분비되어 음식과 섞이게 되고 이 상태로 소장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이자액이 분비되어 음식의 산성도를 낮춰 준다. 1900년대 초 생리학자 윌리엄 베일리스(William Bayliss, 1860-1924)와 어네스트 스탈링(Ernest Starling, 1866-1927)은 개를 이용하여 음식을 섭취했을 때 이자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물질이 무엇인지에 관해 연구했다. 이들은 선상세포(glandular cell)에서 만들어진 세크레틴(secretin)이라는 물질이 췌장에서 이자액을 분비하도록 신호를 보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스탈링은 이 선상분비물(glandular secretion)을 ‘호르몬’이라 명명하였고 이후 여러 연구자들이 수많은 호르몬과 이것들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여러 내분비기관들을 밝혀냈다. 


4. 이것은 조선 후기 남사당놀이 중 땅에서 재주를 넘는 기술을 부르는 말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매우 격렬하고 흥에 겨운 재주를 보며 즐거운 일을 이것에 비유하기도 했는데요. 오늘날 좋은 일이 생겨 기를 펴고 사는 상태를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살판

 

광대의 12가지 땅재주 가운데 몸을 날려 공중에서 회전한 뒤 바로 서는 전문인놀이. 광대놀이.


5. 조선 후기의 학자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에는 이것과 잣나무가 그려져 있습니다. 이는 제주도 유배 시절 본인을 챙겨준 제자의 변함없는 의리를 이것에 빗대어 표현한 것인데요. 어떠한 역경에도 변치 않고 푸르러 절개와 의리를 상징하는 이 나무는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소나무 

 

이 《세한도(歲寒圖)》는 완당(阮堂)이 1840년(헌종(憲宗)6년)에 윤상도(尹尙度)의 투옥 사건에 관련되어 제주도(濟州道)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59세 때(1844년)의 작품으로서, 당시 청(淸)의 연경(燕京)에서 유학하고 있던 제자 이상적(李尙迪)에게 그려 보낸 일품이다. 우선(藕船) 이상적(李尙迪)이 권세를 따르는 세속과는 달리 문하의 구의(舊宜)를 잊지 않고 궁경(窮境)의 완당(阮堂)에게 정의(情宜)를 다하는 데 감격해서 세한(歲寒)(겨울에 홀로 푸른 소나무)에 비유한 그림이다. 이 《세한도(歲寒圖)》야 말로 그 화격이나 고고한 필의로 보아 조선왕조 500년의 걸작으로 꼽힐 만하다.

 



6. 이것은 세종대왕이 사랑한 과일입니다. 아들인 문종은 세자 시절 아버지를 위해 궁궐 후원에 이것 나무를 심어 직접 물을 주고 열매가 익으면 세종께 올렸다고 하는데요. 지금도 경복궁 안에는 이것 나무가 심어져 있다고 합니다. 효를 상징해 효자 과실이라고도 불리며 작고 붉은 것이 특징인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앵두

 

세자인 문종이 경복궁 후원(後苑)에 손수 앵두나무를 심어 매우 무성하였는데 익은 철을 기다려 세종께 드렸다. 세종은 앵두를 맛보고 기뻐하시기를 “바깥에서 올린 것이 어찌 세자가 손수 심은 것과 같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이에 대하여 특진관 심정(沈貞)은 “문종이 앵두나무를 기르며 손수 뿌리에 물을 주고 그 열매를 세종께 드렸습니다. 어찌 진어할 다른 물건이 없겠습니까. 효도를 위해서는 하지 않는 일이 없으므로 그런 것입니다”고 말하였다.
문종의 효심에 자애로이 품어주는 아버지 세종의 모습을 표현하여 효심을 나타냈다.


7. 이것은 여러 사람이 우러러보는 명성이나 덕망을 의미합니다. 흔히 인재를 뽑을 때 유력 후보 혹은 성공 가능성이 높은 인물로 지목될 때 '이것에 오른다'라고 표현하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물망

 

1. 여러 사람이 우러러보는 명망(名望).


8. 이것은 원래 뼈를 발라내고 살을 도려낸다는 뜻입니다. 오늘날 그 의미가 확대되어 나쁜 부분이나 부정적인 요소들을 찾아 깨끗이 없애는 것을 이것이라 하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척결

 

살을 긁어 내고 뼈를 발라 낸다. 즉, 결점이나 부정을 파헤쳐 낸다.


9. 이것은 '한 가닥의 실도 엉키지 않음'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실이 가지런히 정돈된 모습에 빗대어 흔히 질서나 체계가 잘 잡혀 있어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를 이것이라 하는데요. 전체가 하나처럼 행동하는 모습을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일사불란(一絲不亂)

 

실을 뜻하는 사(絲, 실 사)는 糹(가는 실 사)가 두 개 겹쳐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는 실을 여러 개 꼬아 만드는 게 실이니까 말이지요. 질서가 잘 잡혀 있어 조금도 어지럽거나 혼란이 없는 모습. 질서정연(秩序整然)보다 더욱 정교한 모습을 나타내는 듯하군요. 전체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모습이니까요.
이렇게 실이란 글자가 들어간 표현도 여럿 입니다. 실은 엉키면 문란한 상태를 가리키는 반면 가지런하면 정돈된 모습을 뜻하니까요.


10. 이것은 물건이 쓰러지지 않게 받치고 있는 나무를 뜻하는데요. 외부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맞설 수 있게 해주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버팀목

 

물건이 넘어지지 않게 받치고 있는 나무. 버팀나무.


11.  다음 중 부부와 관련이 적은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1. 천생연분 2.금슬지락 3. 해로동혈 4.백년대계

 

더보기

정답 : 4) 백년대계

 

 백 년 후까지의 큰 계획이라는 뜻으로 앞일을 미리 준비하여 방법이나 절차를 세우는 것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