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모음/지뽐 퀴즈

[019] 지적 허세 뽐내기 좋은 퀴즈 모음(난이도 있는 상식 퀴즈)

반응형

* 정답은 더보기 클릭후 확인해 주세요!

 

#미술

1. 이 그림은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천재적 미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가 그린 그림(유화)으로, 크기는 53×77cm. 제작연도는 1503∼1506년으로 추정된다. 현재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musée du Louvre)에 있는 이 그림의 이름은 무엇일까?

 

더보기

정답 : 모나리자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천재적 미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가 그린 그림(유화)으로, 크기는 53×77cm. 제작연도는 1503∼1506년으로 추정된다.

16세기중반의 건축가이자 작가인 조르즈 바사리의 인용에 의하면 <모나리자>는 피렌체의 은행가 프란체스코 디 바르톨로메오디 자노비 델 지오콘도의 아내를 그린 초상화이다. 그래서 모나리자를 '라 지오콘도(La Gioconda)'라고도 한다.

모나리자(Mona Lisa)에서 '모나(Mona)'는 이탈리아어로 유부녀에 대한 경칭이며, '리자(Lisa)'는 지오콘도의 아내 이름인 엘리자베타(Elisabetta)의 약칭이다.

이 작품은 부인의 나이 24∼27세 때의 초상이며, 레오나르도가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의 초청을 받았을 때 이 미완성의 초상화를 가지고 갔었는데, 왕에게 4,000에큐에 팔려 퐁텐블로성(城)에 수장되었다. 현재는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있으며, 1911년 도난당했다 2년 뒤 되찾은 적이 있다.

이 작품에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스푸마토(Sfumato)라는 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스푸마토 기법이란 대상과 대상 사이를 구분 짓는 윤곽선을 흐리게 만들어 대상들이 서로 부드럽게 스며드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음악

2. 이 음악은 독일의 작곡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6곡으로 이루어진 협주곡집이다. 원제는 ‘여러 악기들을 위한 6개의 협주곡(Six Concerts Avec Plusieurs Instruments)’이나 헌정자의 이름을 따 ○○○○○○ 협주곡으로 불린다. 1721년에 작곡한 이 협주곡 제목은 무엇일까?

 

더보기

정답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바흐 음악에서 관현악의 기틀이 되는 작품이 바로 1721년에 브란덴부르크 후작에게 헌정한 여섯 곡의 협주곡이다. 여기에는 그 어떤 모음곡보다 다양한 분위기의 곡들이 들어 있다. 악기 편성이 같은 협주곡은 단 한 곡도 없으며, 그 결과 음색의 폭이 전례가 없을 만큼 넓다. 거기에 스타일과 연주의 차이가 더해지면 어마어마하게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그래서인지 전곡 녹음 음반마다 각기 다른 연주자의 개성을 맛볼 수 있다.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가장 뛰어난 음반을 꼽기가 쉽지 않다. 특히 다양한 악기 편성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협주곡 5번을 바흐가 몰랐던 악기인 피아노로 연주했다는 이유만으로 루돌프 제르킨(아돌프 부시, 1936년)이나 캐슬린 롱(보이드 닐, 1946년)의 피아노 연주를 포기할 사람이 과연 있을까? 오늘날 원전 악기 연주는 더욱 일관되고 친숙한 즐거움을 선사한다. 그런 점에서 이 음반은 꼭 들어 볼 만한 명반이다. 앤소니 홀스테드는 재능 있는 음악가이다. 단순히 악단의 연주를 이끌어 나간다는 점에서 그런 것만이 아니다.

그는 협주곡 제1번의 제1호른, 제5번의 솔로 하프시코드, 제1번을 제외한 모든 곡에서 하프시코드 통주저음을 담당했다. 여섯 곡을 연주하는 내내 고도로 밀도 높은 실내악 연주가 돋보인다. 템포는 적절하고 앙상블의 균형이 잘 잡혀 있어서 어느 협주곡을 들어도 서두르지 않고 명료하게 구분된 프레이즈들이 아름답게 어우러진 느낌이 든다.


#종교

3. 이것은 아주 오래 전부터 유태의 선택된 사람들에게만 전해져 왔던 비밀의 가르침을 기록한 것이라 일컬어지는 일련의 서책을 말한다. 실제로는 중세에 성립된 것으로 추측되며 그 내용은 신(新)플라톤학파와 유사한 유출설적 신비설이다. 이것은 무엇일까?

더보기

정답 : 카발라(Kabbalah)

 

카발라라는 것은 헤브라이어로 유대교의 밀교적 부분, 입에서 귀로 직접 전수된 <구전> 또는 <전통>을 의미하는 말로, Kabbala, Cabala 등으로도 표기된다. 엄격한 참여의례를 거쳐서 자격을 가진 제자에게만 가르치는 것으로, 오랫동안 비밀의 어둠에 숨어있던 카발라가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3세기에 스페인의 유대인 저작에서이다. 카발라는 <신>을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인식의 대상으로 보고, 직접 <신>에 근접해서 그 목전에서 봉사하는 것, 즉 <임재(臨在)>에 대한 길을 가르친다. 거기에 이르는 단계가 각각 독자적인 신의 속성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범신론과 다신교에도 통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아브라함은 메르키제데크에게 천계의 비밀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또한 모세는 신의 계시를 받은 후, 그것을 <율법(트라)>에 기록하였는데, 아무래도 문자로는 표현하지 못하는 부분을 카발라로서 후세에 전했다고 한다. 가장 오래된 카발라는 <신의 옥좌 또는 전차>로서 알려져 있다. 이는 『에스겔서』에서 에스겔의 환시를 추가 체험함으로써 영계 참여를 수행하려는 신비주의이다. 기원후 3세기부터 6세기 사이에 『세펠 예티라(형성의 서)』라는 가장 중요한 카발라 문헌이 성립한다. 이는 후에 언급하는 <생명수>의 10의 세피로트와 22의 소경에 우주론적 상징체계를 배당한 것이다. 12세기에는 『세펠 하 바힐(청명의 서)』이 나타났다. 이는 고전적 카발라의 원전이라고 할 수 있는 문헌으로, 유대교에는 진귀한 <혼의 윤회>를 주장하고 있는 점에서 주목된다. 13세기의 모세스데 레온(Moses de Leon, 1250~1305)은 『조할(광휘의 서)』을 저술했다. 이는 2세기에 활약한 랍비, 시메온벤, 요하이의 사적을 기록하면서 성서의 카발라적 해석이 어떤 것인가를 나타내는 근본 경전이다. 1492년 스페인에서 유대인이 추방되었을 때, 각지로 흩어진 유대인은 여러 가지 카발라 부흥운동을 전개했다. 16세기, 갈리리야의 사펜드에서 활약한 루리아(Isaac Luria, 1534~72)의 체계가 현행 체계의 원천이 되어있다. 17세기에는 사바타이 트비가 나타나서 <구제주>라고 하여 카발라 운동은 최고조에 이르렀다. 또한 18세기 이후 동구에서 하시디즘이 카발라를 일상의 신앙생활과 밀접하게 결부시켜서 그 사상적 영향은 현대의 M. 부바나 G. 쇼렘에도 미치고 있다. 15세기 이후 카발라는 그리스도교 세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피코 데라 미란드라, 로이히린은 그 대표적 사상가이다. 또한 장미 십자단이나 프리메슨의 이름으로 알려진 비밀결사로서 그 전통은 르네상스 이후의 유럽정신사나 정치사에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비유대인에 의한 카발라 운동이라는 측면도 지니고 있다.

카발라의 철학은 <생명수>에 집약되어 있다. 그것은 그림과 같은 구조를 지닌 도식으로, 이중에 천상 천하의 일체의 것을 넣을 수가 있다. 이 <나무>는 우측의 <힘의 기둥>과 좌측의 <현태의 기둥> 및 중앙의 <균형의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시에 위로부터 <유출계>ㆍ<창조계>ㆍ<형성계>ㆍ<활동계>로 된 사중구조를 이룬다. 그것은 성스러운 신의 이름 (YHYH)에 대응한다. 이 세 개의 기둥과 네 개의 세계의 교차점에 10개의 세피로트(sephirot, 수)가 발생한다. 이 10개의 수를 통해서 창조주인 <신>이 현세계에 나타나는 것이다. 1부터 10까지의 세피로트는 각각 고유한 속성을 지닌다. 그것은 하나인 신의 다양한 위상을 나타낸다. 그리스도교의 <삼위일체>에 따르면 카발라는 <십위일체>의 체계이다. 1의 세피라(세피로트의 단수형)는 <케테르(왕관)>, 2는 <호쿠마(지혜)>, 3은 <비나(이해)>, 4는 <헤세드(자비)>, 5는 <게블러(공정)>, 6은 <티페레트(미)>, 7은 <네쳐(승리)>, 8은 <호드(영광)>, 9는 <에소드(기반)>, 10은 <마르크트(왕국)>라고 한다. 지고의 <케테르>는 <신>의 최초의 현형태, 최하의 <마르크트>는 <신>의 최종적 현형태, 즉 물질계를 나타낸다. 이 2극의 사이가 다른 8개의 세피로트에 의해서 분절되며, <케테르>에서 <마르크트>로의 <신>의 유출을 나타내는 동시에, <마르크트>에서 <케테르>에 대한 <신>의 귀환도 나타내는 것이다. 세피로트의 사이는 22개의 소경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에는 22의 헤브라이어의 알파벳 및 그것이 표현하는 수치가 배당되며, 또한 각 문자와 수치와 조응하는 상장이 할당되어 있다. 카발라의 수행자는 이 <생명수>를 기준으로 <케테르>에서 <마르크트>까지의 각 위계를 자유로이 왕래하며, 우주와 인간의 일체의 비밀에 통하는 것이다. 카발라에서는 이를 집 한가운데에 계단을 놓고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자유로이 오르고 내려갈 수 있는 남자로 비유하고 있다.


#문학

4. 이 소설은 에스파냐의 작가인 세르반테스가 지은 풍자 소설이자 그 소설 속 주인공의 이름이다. 소설의 정식 제목은 《재기 발랄한 이달고 라 만차의○ ○○○》이다. 세르반테스는 스스로 이 책의 편찬 목적을 “당시에 유행하였던 허무맹랑한 기사도 이야기의 권위를 무너뜨리고 비판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이 소설의 제목은 무엇일까?

 

더보기

정답 : 돈 키호테(Don Quixote)

 

17세기경 스페인의 라만차 마을에 사는 한 신사가 한창 유행하던 기사 이야기를 너무 탐독한 나머지 정신 이상을 일으켜 자기 스스로 돈 키호테라고 이름을 붙인다. 그 마을에 사는 뚱보로서 머리는 약간 둔한 편이지만 수지타산에는 빠른 소작인 산초 판사를 시종으로 데리고 무사(武士) 수업에 나아가 여러 가지 모험을 겪게 되는 이야기.

돈 키호테는 환상과 현실이 뒤죽박죽이 되어 기상천외한 사건을 여러 가지로 불러일으킨다. 사랑하는 말 로시난데를 타고 길을 가던 돈 키호테는 풍차를 거인이라 생각하여, 산초가 말리는데도 듣지 않고 습격해 들어간다. 그 결과 말과 더불어 풍차의 날개에 떠받쳐 멀리 날아가 떨어져 버린다. 그런데도 제정신을 차리지 못한 돈 키호테는, 이것은 마술사 플레톤이 거인을 풍차로 탈바꿈시켜 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돈 키호테는 모레나 산에 들어가 산초에게 둘시네 공주를 찾아가 자기의 편지를 전해 달라고 한다. 둘시네 공주란 돈 키호테가 잠시도 잊은 적이 없는 가상의 공주였다. 그 명령을 받은 산초는 돈 키호테의 편지를 가지고 둘시네 공주를 찾아갔다. 그리고 산초는 깜짝 놀라는 것이었다. 그 가상의 공주란 여자가 보통 남자 이상의 여장부일 줄이야.

이러한 무사 수업 도중에 산초는 끝내 자기 희망이 실현되어 바라타리아 섬의 지배자가 된다. 산초는 그 섬을 양식(良識)으로 통치했다. 그러나 돈 키호테는 계속 무사 순례의 길을 중단하지 않았다. 보다 못한 그의 친구 카라스코가 기사로 변장하여 돈 키호테에게 도전한다. 그리고 돈 키호테를 굴복시켜 앞으로 1년 동안 무기를 쥐지 않겠다고 약속을 시켰다. 우울해진 돈 키호테는 병석에 눕게 되지만 결국에는 이성을 되찾게 된다. 그는 자기의 과거에 대해 모든 사람에게 용서를 빌고, 친구들에게 자기의 재산을 골고루 분배해 준 뒤 경건한 기분으로 숨을 거둔다.

이 소설은 정편(正篇) 52장, 속편 74장으로 되어 있다. 〈돈 키호테〉는 사람들로부터 "인간의 서"라 일컬어지고, 인간이 지니고 있는 두 개의 경향, 즉 이상적인 일면과 현실적인 일면을 두 사람의 작중 인물을 통하여 멋지게 표현했다. 작자는 전쟁에 참가하여 왼쪽 팔을 잃었고, 귀국 도중 해적의 포로가 되어 5년간 노예 생활을 하기도 했다.


# 역사 #인물

5. 이 인물은 집트 조세르왕 때의 건축가이자 최초로 계단식피라미드를 설계한 인물이다. 의술, 천문학, 철학에도 뛰어났으며 후세에 학문과 의술의 신으로 신격화되기도 했다. '네페르툼(Nefertum)', '아스클레피오스(Asklēpios)'는 그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 인물은 누구일까?

더보기

정답 : 임호테프(Imhotep)

 

정확한 생몰 연대는 알 수 없다. 이집트 고왕국 시대인 제3왕조의 2대 조세르왕 때 재상을 지냈다. 고대 이집트 문화의 전성기를 연 인물로서 건축·의학·천문학·철학에 뛰어났고, 태양신의 대제사장으로서 모든 행사를 주관했다.

특히 피라미드를 처음 설계한 인물로서 기원전 2660년 무렵 한 변이 63m에 달하는 직사각형의 석조 마스타바를 이용해 계단식피라미드를 건조했다. 이 피라미드는 조세르왕을 위해 건설한 것으로, 중앙에 깊이 28m의 수혈(堅穴: 세로로 곧게 판 구덩이)을 파고 그 밑에 매장실을 만들었다. 이후 확장공사를 통해 완성된 이 피라미드의 밑변은 109×126m이고, 높이는 62m이다.

임호텝은 건축뿐 아니라 의술에도 뛰어나 배[腹]·직장·방광·눈·피부·머리·손·혀 등 사람의 18개 부위와 관련된 총 200가지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했다고 한다. 후세에 신격화되어 학문과 의술의 신으로 추앙받았고, 나중에는 멤피스의 최고(最古) 3신(神) 가운데 한 명으로 '농작물의 신', '질병 치유의 신'으로 불리는 네페르툼과 동일시되었다.

이집트 벽화나 자료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서기관의 모습,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무릎 위에 걸치고 있는 머리 깎은 승려의 모습 등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스·로마신화에서 의술의 신이자 아폴론의 아들로 등장하는 아스클레피오스 역시 임호텝의 변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