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모음/지뽐 퀴즈

[021] 지적 허세 뽐내기 좋은 퀴즈 모음(난이도 있는 상식 퀴즈)

반응형

* 정답은 더보기 클릭후 확인해 주세요!

 

#역사

1. 이것은 711~1492년까지 780년 동안 이베리아 반도 대부분을 점령한 이슬람 교도들로부터 영토를 되찾기 위하여 중세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그리스도교 국가들이 벌인 일련의 전투로, 우리말로는 국토 회복 운동(재정복 운동)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무엇일까?

 

더보기

정답 : 레콩키스타(Reconquista)

 

북아프리카 이슬람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로 진출하여 정복하였을 때, 에스파냐 귀족들은 북쪽의 칸타브리아산맥과 동쪽의 피레네산맥으로 도피하게 되었다. 이들은 이 지역을 거점으로 동서 양 방면에서 국토회복운동을 벌였는데 이를 레콩키스타라고 불렀다. 먼저 서부 방면에서는 718년 펠라요라는 서(西)고트족 귀족이 이슬람군을 격파하고 아스투리아스 왕국을 건설하였다. 그 후 레온을 수도로 삼고 두에로 계곡까지 진출하였으며, 10세기에는 레온왕국과 카스티야왕국이 성립되었다. 카스티야는 1085년 이슬람세력의 중심지 톨레도를 점령하고, 1212년 라스 나바스 데 라 톨로사 결전에서 승리, 과달키비르강 유역에 도달하였다.

한편 동부 방면에서는 피레네산맥 주변에서 활동이 개시되어 10세기에 나바라가 독립하고, 11세기에는 아라곤이 독립하였다. 아라곤은 1118년 사라고사를 점령하고, 에브로 계곡을 장악하여 세력을 넓혔다. 13∼15세기에 이들 운동은 에스파냐 통일국가 건설운동의 형태로 추진되었다. 라스 나바스 데 라 톨로사에서 승전한 아라곤은 코르도바(1236) ·세비야(1248) ·알헤시라스(1343) 등을 잇달아 회복하였으며,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와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의 결혼은 에스파냐 통일국가를 탄생하게 하였다. 1492년 페르난도와 이사벨은 이슬람 최후의 거점인 그라나다를 함락시킴으로써 국토회복운동을 완성하였다. 에스파냐의 종교통일운동은 이같은 독립운동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문학

2. 제프리 초서의 대작이라고 평가되는 이 책은  중세 사회의 축약도로 간주되며 새로운 운율을 비롯한 다양한 문학적 기법의 도입, 사랑과 결혼을 둘러싼 인간성 탐구, 의식의 전환을 촉구하는 투철한 작가정신으로 인해 ‘신의 풍요로움’이라는 평가를 듣는 중세 문학의 압권이다. 이 책은 무엇일까?

 

더보기

정답 : 캔터베리 이야기(The Canterbury Tales)

 

제프리 초서의 마지막 작품이자, 당시 영국 사회상을 탁월한 통찰력으로 조명하고 있어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1387년에 집필하기 시작해 1400년 작가가 사망함으로써 24편에서 끝난 미완성 작품이다. 순교자 토마스 베케트의 무덤이 있는 캔터베리 성당으로 참배에 나선 31명의 순례자들이 한 명씩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이야기들은 도덕적인 것, 유쾌한 것, 음탕한 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채로우며, 다양한 장르의 중세 설화문학이 이 책에 실려 있다.

작품에서 순례자들은 기사와 그를 따르는 젊은 무사, 수도원의 여(女)원장과 그 사제(司祭), 법률가, 시골 사제, 탁발 수도사, 의사, 옥스퍼드 대학생, 직조공, 선원, 상인, 농민, 요리사, 방앗간 주인, 고별사 등 이들은 당시 영국 사회의 각계 각층을 대표하는 인물이며, 작가 또한 이야기를 하는 사람 중의 한 사람으로 등장한다. 각 이야기가 단순히 열거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 그들의 성격과 삶을 이야기 속에 충실히 반영하는 지극히 근대적인 전개법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또한 각 이야기들은 각각 유기적인 관련을 가지고 전개되며, 작품 전체적으로 긴밀한 구성에 의해 진행된다. 이 같은 이야기들은 당시 영국의 종교, 세계관, 사회제도, 풍속 등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어 '중세의 파노라마'라고 평해지기도 한다.


#미술 #인물

3. 이 인물은 이탈리아의 조각가·건축가이다. 르네상스 회화, 조각, 건축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산 피에트로대성당의 《피에타》,《다비드》, 시스티나 대성당의 천장화 등이 대표작인 이 인물은 누구일까?

 

더보기

정답 :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Michelangelo Buonarroti)

 

1475년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카프레세에서 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그림에 관심을 갖고 여러 대가들의 작품을 모사하며 소질을 보였다. 부모는 귀족 가문의 자식이 미술에 관심을 갖는 것을 반대했으나, 메디치 가(家)의 설득으로 그림을 배울 수 있었다. 13세에 기를란다요에게 사사하였고, 조각가 베르톨도에게서도 배웠다.

메디치 가의 화가 집단에 합류하여 로렌초의 총애를 받으며 <스칼라의 성모>, <켄타우루스족과 라피타이의 싸움> 등을 그렸다. 로렌초의 사망 후 볼로냐로 이주하였다. 1496년에는 로마에서 <바쿠스>, <피에타> 등의 작품에 착수하였으며, 곧 피렌체로 돌아와 <다비드> 대리석상을 만들었다. 피렌체 시청에 벽화 <카시나의 싸움>을 그리면서 건너편 벽에 벽화를 그리던 다 빈치와 경쟁하기도 하였다. 벽화를 그리던 중도에 교황 율리우스 2세에게 초빙되었으나 냉대받고 다시 돌아와 벽화에 전념했다. 이후 율리우스 2세에게 다시 초빙되어 시스티나 대성당의 천장화에 착수하였으며, 1512년에 완성하였다. 천장화를 그리면서 4년간이나 발판에 누워서 작업하다가 관절염과 근육 경련, 눈병에 시달려야 했다. 율리우스 2세의 사후 그의 묘비를 만들고자 하였으나, 신임 교황 레오 10세의 명으로 산 로렌초 성당의 파사드를 건축하는 바람에 묘비는 설립을 중단하였다.

1520년에는 메디치 가의 묘에 착수하였으며, 로렌초 성당 부속 도서관과 피렌체 성 등의 건축에도 관여하였다. 그러다가 메디치 가와 결별하고 1534년 로마로 이주하였으며, 바오로 3세의 의뢰를 받고 시스티나 성당의 벽에 <최후의 심판>을 그렸다.

1542년 바티칸 궁의 파올리나 성당에 <바울로의 개종>, <베드로의 책형>을 그렸으며, 로마의 캄피돌리오 광장을 설계했다. 성 베드로 대성당의 반구형 지붕을 작업하기도 했다. 로마에서 고향 피렌체를 그리다가 89세로 사망하였다.

미켈란젤로는 이탈리아 르네상스기의 대표적 화가로서 메디치 가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의뢰를 받고 수많은 걸작 그림, 조각, 건축을 완성하였다. 주로 종교와 신화를 주제로 화풍을 그렸으며, 이 작품들은 오늘날까지도 종교화의 전범으로 남아 있다. 사회적 한계와 부조리에 불만을 품고 작품에 투영하기도 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기 3대 화가의 한 사람이다.


#과학

4. 이 용어는 마찰에 의한 전자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한 전기로 마찰 전기라고도 한다. 옷을 벗다 보면 탁탁 소리와 함께 여기저기서 불꽃이 일고 몸이 따끔거리고, 머리를 감고 잘 말린 후 머리를 빗으려 하면 빗에 머리가 달라붙어 제대로 빗을 수가 없고, 문을 열기 위하여 손잡이를 잡는 순간 손이 따끔거리고 주춤할 때가 자주 있다. 이런 현상은 모두 이것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이것은 무엇일까?

 

더보기

정답 : 정전기

 

정전기는 전하가 정지 상태로 있어 전하의 분포가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전기를 말한다. 정전기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동전기(動電氣)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말하는 전기가 동전기를 의미하므로 널리 쓰이지 않는다.

정전기가 생기는 원인이 마찰에 있어, 정전기는 옛날부터 마찰전기로 알려져 왔다.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핵의 주변에는 전자들이 돌고 있는데, 이 전자들은 마찰을 통해 다른 물체로 이동을 한다. 우리 몸 또한 주변의 물체들과 접촉이 일어날 때마다 전자를 주고받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전기가 조금씩 저장되는데, 적정 한도 이상 전기가 쌓이면 적절한 유전체에 닿았을 때 순식간에 불꽃을 튀며 이동하게 된다. 이 현상이 우리가 생활에서 겪게 되는 정전기현상이다. 정전기는 18세기 후반부터 샤를 쿨롱 등에 의해 정량적(定量的) 연구가 이루어져, 전기의 응용과 전자기학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음악

5. 이 곡은 헨델이 남긴 32편의 오라토리오 중 단연 최고의 걸작이자 필생의 역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전곡 중 〈할렐루야 합창〉이 유명한데, 이 곡이 불릴 때 관객 모두 기립하는 것이 관례로 이어져온다. 이 곡은 무엇일까?

 

더보기

정답 : 메시아(Messiah)

 

더블린의 자선 음악단체 필하모니아협회(Philharmonic Society)로부터 작품 의뢰를 받은 헨델은 1741년 8월 22일 《메시아》 작곡에 착수해 9월 14일 전곡을 완성했다. 1부는 6일, 2부는 9일, 3부는 3일이 걸렸고 관현악 편곡은 단 이틀만에 마무리 지었다. 이를 두고 헨델은 신의 도움이 있었다며 악보에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이란 글귀를 남겼다. 초연은 1742년 4월 13일 더블린의 자선 음악회에서 그 자신의 지휘로 이루어졌으며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런던 초연은 이듬해 3월 23일 코번트가든왕립오페라극장에서 있었는데, 관람 중이던 영국의 국왕 조지 2세(George II)가 〈할렐루야 합창〉이 시작하자 갑자기 기립해 관객들도 전부 기립하는 진풍경이 연출되었다. 이후 ‘할렐루야 합창’ 때는 관객들이 기립하는 게 전통이 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