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모음/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068]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반응형

*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유퀴즈'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 바로가기
앱 스토어 바로가기

 


* 정답은 더보기 클릭 후 확인해 주세요

 

1. 이것은 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적과 싸우는 방법을 말합니다. 한나라 장군 한신은 이것으로 조나라의 군대를 물리쳤다고 하는데요. 여기서 유래되어 오늘날 물러설 수 없는 결사적 각오를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배수진

 

背:등 배, 水:물 수, 陣:진칠 진

 

《사기》〈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한(漢)나라 유방이 제위에 오르기 2년 전인 204년, 명장 한신은 유방의 명령에 따라 장이(張耳)와 함께 위(魏)나라를 격파한 여세를 몰아 병사 수만 명을 이끌고 조(趙)나라를 공격하였다. 조나라는 군사 20만 명을 동원하여 한나라가 쳐들어올 길목에 방어선을 구축하였다.조나라의 군사전략가 이좌거(李左車)가 재상 진여(陳餘)에게 길목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지나가는 한나라 군사를 공격하자고 건의하였으나 기습을 별로 좋아하지 않은 진여에 의해 묵살되었다.

이 정보를 입수한 한신은 기병 2,000명을 조나라가 쌓은 성채 바로 뒤편에 매복시켰다.그러면서 한신은 "우리가 달아나는 것을 보면 조나라 군사는 우리를 좇아올 것이다.이때 조나라 누벽에 들어가 한나라의 붉은 깃발을 꽂아라." 또한 병사 1만 명으로 하여금 먼저 가게 하고 정경의 입구에서 나와 강을 등지고 진을 치게 하였다. 조나라 군사는 이를 바라보며 크게 웃었다[信乃使萬人先行 出背水陣 趙軍望見而大笑].

조나라 군사가 성에서 나와 공격하자 한신은 거짓으로 배수진까지 후퇴하였다. 여러 차례 접전을 치르면서 한나라 군사는 배수진에서 우군과 합류하였다. 기세를 제압하였다고 판단한 조나라 군사는 한신을 맹렬히 추격하였다. 이때를 노려 한신은 매복시켜 둔 군사에게 조나라의 성채를 점령하도록 하였고,나머지 군사는 배수진을 친 곳에서 필사적으로 싸웠다.결사적인 항전에 지친 조나라 군사는 견디지 못하고 성채로 돌아와 보니 이미 한나라 깃발이 꽂혀 있었다.한신의 승리로 돌아간 것이다. 배수진은 오랜 원정을 거듭해 조나라보다도 전력이 떨어진 한신의 전술에서 유래한 말이다.이는 막다른 골목에 몰린 것처럼 사생결단하는 정신 상태로 싸움에 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등 뒤에 강물이 흐르니 싸움에 져서 죽든지 강물에 빠져 죽든지 죽는 것은 마찬가지이므로 죽기 아니면 살기로 싸움에 임한 것이다.

비슷한 말로 파부침선(破釜沈船:솥을 깨고 배를 침몰시킨다는 뜻), 기량침선(棄糧沈船:군량미를 버리고 배를 침몰시킨다는 뜻),사량침선(捨糧沈船), 제하분주(濟河焚舟)가 있다. 《십팔사략(十八史略)》 〈한태조고황제(漢太祖高皇帝)〉에도 배수진이라는 고사성어가 나온다.


2. 이것은 길이 들어서 몸에 밴 버릇을 뜻하는 말입니다. 과거 전통 모시를 만들 때 아랫니와 윗니로 모시풀을 쪼갰는데요. 오랫동안 모시풀을 쪼개다 보면 치아가 골이 생겨 일이 수월해지는 것에서 이 말이 전해졌다고 합니다. 흔히 오랫동안 같은 일을 해 능숙하게 처리할 때 '이것이 나다'라고 표현하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이골

 

아주 길이 들어서 몸에 푹 밴 버릇


3. 이것은 영어로 엄지손톱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는 주로 영상이나 블로그의 글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작게 만든 이미지를 이것이라 하는데요.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내 조회 수를 끌어올리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섬네일 (Thumbnail)

 

그래픽 파일의 이미지를 소형화한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그래픽 파일 안에 데이터로 포함된다. 인터넷에서는 작은 크기의 견본 이미지를 가리킨다. 섬 네일을 클릭하면 보다 큰 이미지가 표시된다. 원래 의미는 「엄지 손톱, 작은 물건」이라는 뜻이다.


4. 이것은 원래 카드 게임에서 만능 패를 뜻하는 말입니다. 오늘날엔 의미가 확장돼서 스포츠 종목에서 출전 자격이 없지만 출전을 특별히 허용한 선수나 팀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KBO는 2015년 이것이 처음 도입되었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와일드카드

 

카드게임에서는 자기가 편리한 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유패 또는 만능패를 뜻하지만, 컴퓨터 용어와 스포츠 용어로 그 의미가 확장되어 쓰인다. 컴퓨터 용어로는 일반적으로 한 디렉토리 내에 여러 개의 파일이 존재하거나, 파일 이름의 뒷부분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를 뜻한다. 모든 문자를 의미하는 *(8문자), 문자 하나를 의미하는 ?가 있다.


스포츠 용어로는 축구, 테니스, 사격, 체조, 야구 등 일부 종목에서 출전자격을 따지 못했지만 특별히 출전이 허용된 선수나 팀을 말한다.


축구의 경우 올림픽 출전선수는 프로와 아마추어에 관계 없이 만 23세 이하로 제한되어 있으나, 만 24세 이상의 프로 선수가 세 명까지 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유럽에서는 연령을 21세 이상으로 낮추기로 자체 결정하였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월드컵 축구대회에 비해 뒤떨어진 올림픽 축구의 인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1996년 제26회 애틀랜타(Atlanta) 올림픽부터 도입한 제도이지만, 2004년 제28회 아테네(Athenae) 올림픽부터는 폐지하기로 사실상 확정된 상태이다.

미국 프로야구의 경우 메이저리그에서도 적용되고 있는데, 내셔널리그와 아메리칸리그의 각 지구(동부·중부·서부) 1위 팀은 플레이오프로 직행하고, 각 리그 2위인 두 팀에게 플레이오프 출전자격이 주어지는데 이를 와일드카드라고 한다. 따라서 메이저리그의 플레이오프는 내셔널리그의 5개팀(동부·중부·서부 지구의 1위 팀 3개팀과 와일드카드 2개팀)과 아메리칸리그의 5개팀이 토너먼트로 경기를 벌여 최종 챔피언을 가린다.

이 와일드카드는 1994년 232일간의 긴 파업 끝에 개막된 1995년의 포스트시즌부터 시작되었다. 파업 후유증으로 페넌트레이스 경기수가 줄어든 대신 1994년 불발에 그친 와일드카드가 관중들의 흥미를 돋우기 위해 처음 도입된 것이다.

한국 남자테니스 역사상 처음으로 US오픈남자테니스선수권대회 16강에 오른 이형택(李亨澤)이 2000년 제27회 시드니올림픽 테니스 복식경기에 출전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 와일드카드 덕분이었다. 이형택은 기권선수가 많아 단식에도 출전하였다.


5.  '불로 달구다'라는 중세 시대 노르웨이에서 파생된 말입니다. 과거 유럽 농부들은 자신이 소유한 가축이나 술을 저장하는 통에 인두로 낙인을 찍어 소유주임을 나타냈는데요. 여기서 유래해 오늘날 경쟁업체와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이름이나 기호를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브랜드(brand)

 

브랜드(brand)라는 단어는 노르웨이 고어 ‘brandr’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단어는 ‘태운다(to burn)’는 뜻을 지니고 있다. 이것이 보여 주듯 고대 유럽에서 가축의 소유주가 자기 가축에 낙인을 찍어 소유주를 명시하던 사례에서 파생했다고 보는 것이 브랜드라는 단어의 유래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생각이다.

이와 유사한 사례들로는 고대 이집트에서 벽돌에 이름을 표시해 제조자를 명시해 품질을 보증했던 일이라거나 일찍이 영국에서 위스키 제조업자들이 나무통에 인두를 이용해 화인(火印)을 찍은 것도 들 수 있다.

사람에게 특정한 표식을 한 경우로 가장 참혹한 사례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에서 유대인에 대한 차별과 학살 과정에서 나타났다. 이 당시 독일군이 유대인을 탄압하기 위해 유대인에게 ‘다비드의 별(Star of David)’이라는 마크를 붙여 다른 독일 국민들과 구별해 학살한 것도 넓게 보아 일종의 브랜드에 속한다고 하겠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부터 기와나 도자기의 안쪽에 생산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전통이 이어져 왔다.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기와의 수막새에 기와를 만든 지역을 의미하는 ‘東’이라는 글자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거나, 조선 시대 만들어진 분청사기 대접의 바닥에 ‘長興庫’라는 글자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어 이 그릇이 장흥 지방의 도요지에서 만들어진 것임을 분명하게 표시하고 있다.



6. 겨울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는 먹이를 바라보는 이것의 눈빛과 같다고 하여 '천랑성' 또는 '이것 별'이라고 불리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늑대

 

큰개자리의 7개의 별 중에서 주성(主星)이라고 할 수 있는 시리우스는 겨울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시리우스(SIRIUS)는 희랍어 ‘세이리오스(빛나는 것)’에서 유래한 말이다. 옛날 중국과 한국에서는 이 별이 먹이를 바라보는 늑대의 눈빛 같다고 하여 ‘천랑성(天狼星)’이라고 불렀다. ‘랑(狼)’은 사나운 짐승, 곧 늑대나 이리를 뜻한다. 이런 명칭에서 유래하여 이 별을 늑대별이라고 부른다.


7. 자녀가 있는 맞벌이 부부, 도움이 필요한 노인 등의 가사 일을 도와주는 분들을 가사 근로자라고 합니다. 현장에서 가사 근로자는 아줌마, 이모, 도우미 등으로 불리고 있어 최근 현장 건의와 선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직업적 전문성과 자존감이 반영된 새로운 명칭이 만들어졌는데요. 이 명칭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가사관리사

 

일시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가정을 방문하거나 일정 기간 고용되어 집안일을 돕는다. 가정의 화장실, 거실 등의 집안을 청소하고, 가재도구의 먼지를 제거하는 등 집안을 정리·정돈한다. 의복, 이불 등을 세탁·건조하고 다림질한 후 정돈한다. 우편물을 보관하고, 공과금을 대신 납부한다. 요청에 따라 음식을 만들고 대접하는 등의 가사업무를 수행한다. 가정용품의 구입을 대행한다. 고객이 원하는 장소에 방문하여 부모를 대신하여 자녀 혹은 노인을 돌본다.


8. 영국 역사상 가장 뛰어난 위조화폐범죄 수사관은 이 인물입니다. 이 인물은 50대부터 조폐국에서 일하며 화폐 위조범들을 검거하고 위조 방지를 위해 동전 테두리에 톱니바퀴 모양을 넣는 아이디어를 고안해내기도 했는데요. 근대 과학의 선구자로 사과와도 관련이 있는 이 인물은 누구일까요? 

 

더보기

정답 : 뉴턴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뉴턴이 조폐국장으로 일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천재 물리학자가 돈 만드는 곳에서 일을 했다니 어쩐지 어울리지 않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뉴턴은 조폐국에서도 큰 활약을 펼쳤다.

잉글랜드 동부 링컨셔에서 태어난 뉴턴은 킹스 스쿨에서 공부하고, 1661년 6월 케임브리지의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1665년에 학사 학위를, 1668년에 석사 학위를 받았다. 1669년에 뉴턴은 스승인 배로의 뒤를 이어 수학 교수가 되었다. 1668년과 1671년에는 반사 망원경을 제작했으며, 1672년 왕립학회 회원이 되었다.

1686년 국왕이 대학의 규정을 침해하고 자격이 없는 사람에게 학위를 주어 케임브리지를 지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으려 하자, 뉴턴은 이에 저항하는 활동을 펼쳐 결국 국왕을 패배시켰다.

하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뉴턴에게는 많은 정적이 생겼고, 결국 오랫동안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우울증을 앓게 되었다. 그러던 중 친구의 도움으로 조폐국 감사로 취임하게 되었다. 당시 영국 왕립 조폐국은 부패할 대로 부패해 있었고, 시중에는 위조 화폐가 부지기수로 나돌았다.

이때의 화폐는 진짜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진 금화, 은화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화폐는 화폐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금이나 은으로서의 가치도 있었다. 그러자 금화나 은화의 가장자리를 깎아 내어 이득을 보려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뉴턴은 위조 화폐를 방지하기 위해 동전 테두리에 톱니 모양을 새겨 넣게 하였다. 톱니가 없는 돈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더 이상 주화의 가장자리를 깎아 내는 사람들이 사라져 위조 화폐를 방지하는 데 큰 효과를 보았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금이나 은으로 돈을 만들지 않으므로 애초의 뜻은 사라지고 다만 모양을 꾸미는 역할만 하게 되었다.


9. 이것은 1516년 영국의 사상가 토머스 모어가 쓴 소설입니다. 소설의 배경인 이곳은 경제적 평등을 최우선으로 추구하는 국가인데, 이곳 사람들은 24시간 중에 8시간 잠을 자고 6시간 일하며 나머지는 여가 시간으로 사용합니다. 현실 어느 곳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곳을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유토피아(utopia)

 

원래 토마스 모어가 그리스어의 '없는(ou-)', '장소(toppos)'라는 두 말을 결합하여 만든 용어인데, 동시에 이 말은 '좋은(eu-)', '장소'라는 뜻을 연상하게 하는 이중기능을 지니고 있다. 서유럽 사상에서 유토피아의 역사는 보통 플라톤의 《국가》에 나오는 이상국으로까지 거슬러올라간다. 그러나 정확히는 모어의 저서 《유토피아》(1516)를 시초로 하여 캄파넬라의 《태양의 나라》(1623), 베이컨의 《뉴아틀란티스》(1627) 등 근세 초기, 즉 16∼17세기에 유토피아 사상이 연이어 출현한 시기를 그 탄생의 시점(時點)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유토피아는 중세적 사회질서에서 근세적 사회질서로 옮아가는 재편성의 시기를 맞아, 또는 거기에서 생기는 사회 모순에 대한 단적인 반성으로서, 또는 근세 과학기술 문명의 양양한 미래에 대한 기대에서 생긴 것이다. 전자의 예로는 종교개혁 사상 가운데 가장 과격파인 '천년지복설(千年至福說)'의 비전을, 후자의 예로는 《뉴아틀란티스》를 각각 그 전형으로 들 수 있다. 이들 유토피아의 비전은 또한 18∼19세기의 생시몽, 푸리에, 오언 등의 이상사회의 계획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 근세의 유토피아 사상과, 나아가서는 루소 등의 원초적 자연상태로서의 황금시대에 대한 꿈이나 플라톤의 이상국에 대한 꿈까지를 포함하여 일관된 특징은, 그것들이 이상향을 아무데도 존재하지 않는 세계라고 하면서도, 실은 어디까지나 현세와의 시간적·공간적 연속선상에서 꿈꾸고 있다는 점이다. 즉 유토피아는 '도원경(桃源境)'이니, '황천국(黃泉國)'이니, '하데스(Hades)'니 하는 원시시대 이래 인류 일반에게서 볼 수 있는 '타계관념(他界觀念)'처럼 시공(時空)을 단절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이 사실은 에른스트 브로호, 마르쿠제 등 20세기 유토피아 사상의 계승자들의 사상에 있어서나 또는 조지 오웰, 올더스 헉슬리 등의 20세기의 '역(逆) 유토피아' 사상에 있어서도 같다.


10. 나무의 줄기를 자르면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는 '나이테'가 나타납니다. 나무의 나이테처럼 물고기는 이곳에 나이를 가늠할 수 있는 무늬가 있다고 하는데요. 이곳은 어디일까요?

 

더보기

정답 : 비늘 

 

어류의 피부는 바깥층의 표피와 안층의 진피로 나누어진다. 비늘은 진피 내에 있는데, 각질이며 투명하고, 또 성장함에 따라 커지므로 비늘의 나이테로 물고기의 나이를 추측할 수 있다. 가장자리가 둥글고 매끄러운 것을 둥근비늘[圓鱗:연어 ·정어리 ·꽁치 등], 표면에 작은 가시가 많이 있는 것을 빗비늘[櫛鱗:참돔 ·벵에돔 등], 판상(板狀)이며 표면이 법랑질로 둘러싸인 작은 돌기가 있는 것을 방패비늘[楯鱗:상어 등]이라고 한다. 이 밖에 철갑상어의 경린(硬鱗), 전갱이 몸의 뒤쪽에 있는 능린(稜鱗) 등이 있다. 이 비늘의 표면에 해당하는 표피와 진피 사이에는 색소세포가 있고, 비늘의 안쪽인 진피와 근육 사이에는 광채세포(光彩細胞)가 있다.

색소세포에는 검정인 멜라닌색소 외에 노랑 ·빨강(카로티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고, 광채세포에는 세포핵이 분해되어 생긴 구아닌이 있기 때문에 빛을 반사한다. 어체(魚體)가 은백색인 것은 광채세포만 있고, 흰색인 것은 색소세포 ·광채세포가 없기 때문이다. 체색은 여러 원인에 의해서 변하는데, 색소세포가 수축하면 백색이 되고 확대하면 빛깔을 띠게 된다. 원구류는 점액성 피부로 덮여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