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퀴즈모음/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010]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반응형

*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유퀴즈'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 바로가기
앱 스토어 바로가기

 


 

 

* 정답은 더보기를 클릭 후 확인해 주세요!

 

1. <태종실록>에 따르면 이 동물은 조선 고위 관리를 죽인 혐의로 전라도의 섬으로 유배당했다고 기록이 되어 있는데요. 후각 능력이 뛰어난 이 동물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코끼리

 

육지에 사는 동물 중 몸집이 가장 크며 긴 코를 자유롭게 이용하여 먹이를 먹는 동물.

2. 한국 문단의 대표 순수시인인 '천상병 시인'의 묘비에는 대표작 '귀천'의 한 구절이 새겨져 있습니다.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이것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천상병 시인의 대표작 '귀천'에서 시인은 잠깐 머물다가는 인생을 무엇이라 표현했을까요? 

 

더보기

정답 : 소풍

 

시인 겸 평론가. ‘문단의 마지막 순수시인’ 또는 ‘문단의 마지막 기인()'으로 불렸으며 우주의 근원, 죽음과 피안, 인생의 비통한 현실 등을 간결하게 압축한 시를 썼다. 주요 작품집으로 《새》(1971), 《귀천 》(1989) 등이 있다.


3.  영국의 정치가 윈스턴 처칠은 "내 활력의 근원은 이것이다. 이것을 즐기지 않는 사람은 부자연스러운 삶을 사는것이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비디오아트의 거장 백남준은 "이것은 창조적 상상력을 불러 일으키는 의식과 무의식이 만나는 시간이다."라고 말하였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낮잠

 

야간수면의 부족을 채우기 위하여 낮에 자는 일.


4. 2019년 7월, 네덜란드 대표 화가인 '이 인물'의 작품 <야경>이 44년 만에 복원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이 인물'은 빛과 어둠을 극적으로 활용한 독특한 미술 기법으로 17세기 네덜란드 미술의 황금시대를 연 화가로서 빛의 마술사라고 불리는 이 인물은 누구일까요?

 

더보기

정답 : 렘브란트 

 

렘브란트는 네덜란드의 화가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함께 17세기 유럽 회화사상 최대의 화가이다.

1632년 암스테르담 의사조합으로부터 위촉받은 <툴프 박사의 해부> 란 작품으로 호평을 얻은 후, 암스테르담에서 첫째 가는 초상화가로서 명성을 얻어 많은 수입과 제자를 모았다.

그러나 그의 회화가 성숙함에 따라 당시의 일반적 기호였던 평면적인 초상화 등에 만족할 수 없게 되어 내면적인 것, 인간성의 깊이를 그리고 싶은 생각이 절실해지면서 종교적 소재나 자화상이 많아졌다.

따라서 1642년의 명작 <야경(夜警)>의 제작을 고비로 갑자기 세속적 명성에서 멀어졌다. 1669년 10월 유대인 구역의 초라한 집에서 임종을 지켜보는 사람도 없이 죽었다.

현존하는 작품은 유화 약 600점, 에칭 300여 점, 소묘 1000여 점 등이 있다. 회화로도 많이 알려졌지만 판화로도 유명하며 특히 에칭이야말로 렘브란트가 완성한 독특한 판화 장르이다.

렘브란트의 작품은 대상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는 사실적인 표현을 구사하지만, 색채 및 명암의 대조를 강조함으로써 의도하는 회화적 효과를 올리는 데 렘브란트 작품의 특색이 있다. 때문에 오늘날 그를 가리켜 '빛과 어둠의 화가'라고 일컫는다.

주요 작품은 <자화상> <성가족> <엠마오의 그리스도> <십자가 강하> <병자를 고치는 그리스도> 등이 있다.


5. 고려 시대 이날은 한 해 농사를 점치는 중요한 날로 이날 날씨가 맑으면 풍년, 비가 많이 오면 흉년이라고 믿었습니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24절기 중 하나인 이날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입추

 

24절기 중, 13번째 절기로서 음력 7월 초순, 양력 8월 8~9일 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135˚에 위치하며, 가을에 들어선다는 뜻대로, 이날부터 입동 전까지를 가을로 친다.


 

 

6. 한때 독도는 이것의 최대 서식처였습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일본 어부들은 이것의 가죽과 기름이 돈이 되자 무차별적으로 포획하였고 결국 이것이 독도에서 멸종되었습니다. 독도의 수호신으로 불리던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강치

 

바다사자과 강치속에 속하는 바다 생물로, 동해안에서 주로 서식한 포유류 바다 생물이다. 무리지어 생활하면서 어패류를 잡아먹고, 수명은 20년 정도이다. 몸길이는 2.5m가량으로 수컷의 경우 큰 것은 몸무게가 490kg에 달한다.

독도강치는 19세기 초 동해안에 수만 마리가 서식했으나 1905년 이후 일본인들이 가죽과 기름을 얻기 위해 집중 남획하면서 멸종 위기에 처했다. 이후 1972년 독도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됐으며, 1994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멸종을 선언했다.


7.  이곳은 일본 나가사키현에 위치한 섬인데요. 1940년대 약 800여 명의 조선인들이 이곳에 강제동원돼 해저 600 ~ 700m 탄광에서 가혹한 노동과 학대에 시달렸습니다.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곳은 한국인에 대한 강제노역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은 바 있는데요. 이곳은 어디일까요? 

 

더보기

정답 : 군함도(하시마)

 

나가사키항에서 남서쪽으로 약 17.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19세기부터 탄광사업으로 번영했던 섬으로, 1940년대에는 조선인들이 강제노역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1974년 폐광되면서 도민이 섬을 떠났다. 섬 모양이 일본 해군 전함인 도사[]와 닮아, 군함도()라고도 불린다. 2015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역사왜곡 등의 논란을 빚었다.


8. 1911년 항일 비밀조직인 '신민회'가 주축이 되어 무장 투쟁을 위해 서간도에 세운 독립군 양성 기관입니다. 이곳 출신 독립군들은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등 항일 무장 투쟁에서 큰 활약을 했는데요. 3500명에 이르는 독립투사를 배출한 이곳은 어디일까요?

 

더보기

정답 : 신흥무관학교

 

대한 제국 말기의 민족 운동 단체이자 비밀 조직인 신민회는 만주에 독립운동 기지를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 이후 ‘경학사’라는 항일 독립운동 단체가 만들어졌고, 민족 교육과 군사 교육을 실시하는 신흥 강습소를 세웠다. 이 신흥 강습소가 바로 신흥 무관 학교로 발전했다.

신흥 강습소를 설립하는 데는 많은 경비와 인력이 필요했다. 이에 이회영의 6형제와 이동녕 등이 자신들의 재산으로 땅을 사들이고 건물을 지어 강습소를 마련했다. 신흥 강습소에는 일반 교육 과정인 본과와 무관을 양성하는 무과를 두었다. 1913년에는 신흥 중학교로 이름을 바꾸어 중학반과 군사반을 두었으나 주로 군사반에 힘을 기울여 청년들을 길러 냈다.

3 · 1 운동 이후에는 국내의 많은 청년들이 신흥 강습소로 몰려들었다. 일본의 육사를 졸업한 지청천을 비롯해 김경천 등이 이때 신흥 강습소를 찾았다. 하지만 입학을 원하는 청년들이 너무 많아 작은 강습소로는 부족해지자, 1919년에 중국 지린성 류허 현 고산자로 장소를 옮긴 뒤 학교 이름을 신흥 무관 학교로 바꾸었다. 신흥 무관 학교에는 2년제 고등 군사반을 두어 고급 간부들을 키우고, 여러 곳에 분교를 세워 독립군을 키우는 가장 대표적인 교육 기관이 되었다.


9. 이 인물은 민족을 대표하는 저항 시인이자, 열일곱 번의 옥고를 치른 독립운동가입니다. 이 인물은 일본에 저항한다는 의미로 첫 옥고 당시 받은 수인번호를 필명으로 정해 활동했는데요. 청포도, 절정, 광야 등 저항시를 남긴 이 인물은 누구일까요?

 

더보기

정답 : 이육사 

 

일제 강점기에 끝까지 민족의 양심을 지키며 죽음으로써 일제에 항거한 시인.《청포도()》, 《교목()》 등과 같은 작품들을 통해 목가적이면서도 웅혼한 필치로 민족의 의지를 노래했다.


10. 8월 23일은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이름 붙여진 처서입니다. 이것도 처서가 지나면 입이 비뚤어진다는 속담은 여름철 기승을 부리던 이것이 처서가 되면 기세가 누그러진다는 뜻인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더보기

정답 : 모기 

 

24절기의 하나인 처서는 양력 8월 23일 무렵이다. 이때가 되면 한 여름철 기승을 부리던 무더위도 한풀 꺾여 누그러진다. 그러면 저온에 약한 모기들도 사람의 피를 빨려고 극성을 부리던 육칠월에 비해 기세가 많이 꺾인다. 파리도 마찬가지다. 그 꺾이는 기세를 모기의 입이 삐뚤어지는 것으로 형상화했다. 감각적인 표현이다. 그러나 이즈음 도시의 모기들은 형세가 다르다. 처서가 지나도 입이 비뚤어지기는커녕 건물 지하에 숨어 있으면서 밤이면 나와 도시인들을 괴롭힌다.
모기가 사라지는 시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속담으로는 “모기는 중양절 떡 먹고 죽는다.”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