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플레이와 앱 스토어에서 '유퀴즈' 앱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답은 더보기 클릭 후 확인해 주세요!
1. 이것은 우리나라의 민간 신앙 중 집터를 지키는 신에서 유래가 됐습니다. 이 신은 울타리 안을 보호해주며 액운을 막고 재물과 복을 가져다준다고 전해지는데요. 여기서 유래하여 모임에서 가장 오랫동안 몸담고 있는 사람을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 터줏대감
집터를 지키는 지신의 높임말로 쓰이거나, 마을 · 단체 같은 데에서 가장 오래되어 그 주인처럼 된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2. 1886년 한성주보에 실린 우리나라 최초의 상업 광고는 광고라는 말 대신 이것이란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소비자에게 회사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솔직하게 전달한다는 의미로 '마음속의 생각을 숨김없이 사실대로 말한다'라는 뜻의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 고백
어느 나라든 사람이 모여 사는 곳에 시장이 있고, 시장이 있으면 상업 커뮤니케이션 즉 광고가 있게 마련이다. 오랜 역사를 가진 한국에도 일찍부터 광고가 있었다. 다만 광고라는 말이 나온 것은 일본이 앞섰는데, 대략 1860년대였다. 한국에서 광고는 개항 후 1886년 2월 22일 정부가 발행하는 ≪한성주보≫에 게재된 독일 상사 세창양행의 “고백(告白)”이라는 말로 시작되었다.
고백이라는 말은 19세기 후반에 한국, 중국, 일본이 모두 같은 뜻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모두 한자에다, 광고주는 개화기 중국 상하이에 진출해 인천에 사무소를 차린 외국 회사였으며, 신문은 정부 간행물이었다. ≪한성주보≫에 어떻게 해서 광고가 게재되기에 이르렀는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다. ≪한성주보≫는 얼마 가지 못하고 사라졌다.
실질적인 면에서 보면 근대 광고의 시작은 미국에서 돌아온 서재필이 1896년 4월 7일 창간호를 발행한 ≪독립신문≫이다. 창간호에는 첫 페이지에 “광고”라는 제목 기사에서 발행 취지, 구독 요령, 기고하는 방법 그리고 판매인에 대한 조건까지도 자세히 적었다. 그야말로 ≪독립신문≫의 광고를 한 셈이었다. 이렇게 보면 근대 한국 광고의 역사는 고작해야 120년이다. 일천한 학문 분야여서 거의 모든 연구는 개항 이후의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3. 이것은 '춤추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된 음악 장르입니다. 본래 이것은 춤을 위한 무도곡이었으나 중세 시대 음유시인들이 반주에 시를 붙여 부르며 서사가 있는 음악으로 발전했는데요. 오늘날 대중음악에서 사랑을 노래하는 서정적인 장르를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 발라드(ballade)
춤춘다는 뜻의 라틴어 ballare에서 유래하여, 민요·가요로 번역되기도 한다. 교회나 궁정 중심의 문학에 대하여 민중 속에서 생긴 영웅전설·연애비화(戀愛悲話) 등의 담시로 세대에서 세대로 전승된 것이다. 12세기에 프랑스 남부지방에서 음유시인이 생겨, 이것은 얼마 뒤 영국으로 번졌고 15·16세기에는 크게 유행하였다.
처음에는 춤에 맞추어 노래하던 것으로, 시 형식은 보통 3절로 이루어졌는데, 각 절은 7∼8행이며, 그 중 끝 1∼2행은 되풀이로 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14세기경에 이르러서는 단순히 정형(定型)의 소서사시라는 뜻으로 굳어졌다. 이탈리아에서는 단테와 페트라르카, 프랑스에서는 비용, 마로 등이 이 형식으로 작품을 썼으며, 영국에서는 역사 및 전설을 소재로 많은 작품이 만들어졌고, 독일에서는 헤르더에 의해 소개되었다. 18세기 말의 낭만파 문학시대에는 각국의 작가들이 민요에 흥미를 갖게 되어 독일에서는 괴테, 하이네 등이, 프랑스에서는 위고 등이, 영국에서는 스콧 등이 많은 발라드를 썼다.
음악에서는 담시곡 ·이야기곡 등으로 번역되는 통속적 가곡을 뜻한다. 원래는 무도가(舞蹈歌)였는데, 14세기에 들어와서 무도가의 성격이 거의 상실되어 무도에서 독립하여 주로 역사적 ·전설적 ·종교적 소재가 담긴 가벼운 독창곡이 되었다. 16세기에는 주로 이야기식 성격의 성악곡으로 발전하여 영국의 헨리 8세로부터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많은 발라드가 작곡되었다. 19세기에는 보통 3부 형식으로 이루어진 성격적인 피아노 소품(小品)을 발레데 또는 발라드라 하였는데, 쇼팽의 《발라드》 4곡과 브람스, 포레 등의 발라드가 유명하다.
오늘날에는 포퓰러송 가운데서 센티멘틀한 러브송 종류를 발라드라 하고, 재즈 연주에서는 포퓰러송 등의 원곡(原曲) 멜로디를 살리면서 애드 리브(즉흥연주)하는 것을 발라드 연주라고 한다.
4. 이 인물은 이집트의 의사이자 최초의 피라미드를 설계한 건축가입니다. 이 인물은 피라미드 건설에 동원된 인부들을 치료해주고 48가지의 치료법을 파피루스에 기록해 두었는데요. 의학의 신이라 불리며 평화로움을 주는 자라는 뜻을 가진 이 인물은 누구일까요?
정답 : 임호텝(Imhotep)
정확한 생몰 연대는 알 수 없다. 이집트 고왕국 시대인 제3왕조의 2대 조세르왕 때 재상을 지냈다. 고대 이집트 문화의 전성기를 연 인물로서 건축·의학·천문학·철학에 뛰어났고, 태양신의 대제사장으로서 모든 행사를 주관했다.
특히 피라미드를 처음 설계한 인물로서 기원전 2660년 무렵 한 변이 63m에 달하는 직사각형의 석조 마스타바를 이용해 계단식피라미드를 건조했다. 이 피라미드는 조세르왕을 위해 건설한 것으로, 중앙에 깊이 28m의 수혈(堅穴: 세로로 곧게 판 구덩이)을 파고 그 밑에 매장실을 만들었다. 이후 확장공사를 통해 완성된 이 피라미드의 밑변은 109×126m이고, 높이는 62m이다.
임호텝은 건축뿐 아니라 의술에도 뛰어나 배[腹]·직장·방광·눈·피부·머리·손·혀 등 사람의 18개 부위와 관련된 총 200가지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했다고 한다. 후세에 신격화되어 학문과 의술의 신으로 추앙받았고, 나중에는 멤피스의 최고(最古) 3신(神) 가운데 한 명으로 '농작물의 신', '질병 치유의 신'으로 불리는 네페르툼과 동일시되었다.
이집트 벽화나 자료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서기관의 모습, 파피루스 두루마리를 무릎 위에 걸치고 있는 머리 깎은 승려의 모습 등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스·로마신화에서 의술의 신이자 아폴론의 아들로 등장하는 아스클레피오스 역시 임호텝의 변형이다.
5. 이것은 우리나라 대표 과일 중 하나인데요. 단맛과 떫은맛이 특징인 이 과일은 가을에 수확해 말린 뒤 겨울 간식으로 먹습니다. 이때 다 수확하지 않고 몃 개 남겨두는 이 과일을 가리켜 까치밥이라고 하는데요. 단과로도 불리는 이 과일은 무엇일까요?
정답 : 감
감은 동아시아 특유의 과수로서 한국·중국·일본이 원산지다. 중국 최고(最古)의 농업기술서 《제민요술(齊民要術)》에 감나무의 재배에 대한 기록이 있고, 당나라의 《신수본초(新修本草)》에도 감나무를 분류 수록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일찍부터 재배한 과일로서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에 경상도 고령(高靈)에서 감을 재배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에는 8세기경에 중국에서 전래하였다는 설이 유력하며, 《화명유취초(和名類聚抄)》(931~938?)에 야생종과 재배종을 구별하고 있다. 감은 단것이 귀했던 시대에 귀중한 과일이었으므로 가공 ·저장 ·이용에 힘써 왔다. 수세(樹勢)가 강건하고 병충해도 적어서 비교적 조방적 재배가 가능하다.
또한, 내한성(耐寒性)이 약한 온대 과수로서 한국의 중부 이북지방에서는 재배가 곤란하다. 감에는 단감과 떫은감이 있는데 중부 이북지방에서는 단감재배가 안 된다. 감은 주로 생식용으로 이용되며, 그 밖에 건시(乾杮) 등의 가공용 및 시삽(杮澁)을 만들어 공업원료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가공을 위해서라면 떫은감을 재배하여야 한다.
감의 주성분은 당질로서 15~16%인데 포도당과 과당의 함유량이 많으며, 단감과 떫은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떫은맛의 성분은 디오스프린이라는 타닌 성분인데 디오스프린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쉽게 떫은맛을 나타낸다. 아세트알데히드가 타닌성분과 결합하여 불용성이 되면 떫은맛이 사라진다. 단감의 속이나 과피의 검은 점은 타닌이 불용화한 타닌세포의 변형이다. 비타민 A, B가 풍부하고 비타민 C는 100g 중에 30~50mg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펙틴, 카로티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과일의 색은 과피의 카로티노이드 색소에 의한 것인데, 짙은 주황색인 리코핀(lycopin)의 함유량은 가을의 일조조건과 관계가 있다. 서양에서는 감 먹기를 조심하고 있는데, 감의 타닌성분이 지방질과 작용하여 변을 굳게 하기 때문이라 한다.
6. 이것은 우주를 무대로 전개되는 SF의 한 장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1941년 SF 작가이자 평론가인 윌슨 터커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인데요. 오늘날 대표적인 이것 영화로는 조지 루카스 감독의 영화 시리즈 <스타워즈>가 있습니다. 우주 공간이나 우주여행 등을 소재로 한 작품을 일컫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 스페이스 오페라 (space opera)
1920∼1930년대의 미국에서는 우주선에 탑승한 영웅들이 종횡무진 활약하는 대중소설적인 공상과학소설(Science Fiction:SF)이 크게 유행하였다. 그와 같은 작품을 약간 경멸적(輕蔑的)으로 이르는 호칭인데, 서부극을 '호스 오페라(horse opera)', 가정 취향의 로맨스를 '소프 오페라(soap opera)'라고 하는 것과 같은 부류의 말이다.
에드거 버로스, 커밍스, 스미스, 해밀턴 등이 SF 작가로 알려져 있다.
7. 이것은 8세기경 바이킹들의 식사 방식에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이들은 오랜 항해 후 무사히 고향에 돌아온 것을 자축하며 커다란 널빤지에 온갖 음식과 술을 한꺼번에 올려놓고 식사를 했다고 하는데요. 프랑스어로 열차에 있는 간이식당을 뜻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 뷔페(buffet)
이는 바이킹의 후예인 스칸디나비아 지방의 풍습에서 유래하였다는 주장이 유력하다. 스웨덴 사람들은 이를 스모르가스보르드라고 부르는데, 집에서 만든 음식을 펼쳐놓고 손님들을 초대한 데서 나온 것이다. 좁은 장소에서 격식을 갖추지 않고 많은 손님을 치를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간략한 것을 좋아하는 미국인뿐만 아니라 한국인도 예사로 이용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널리 퍼져 현재에는 호텔이나 기차 식당에도 뷔페식이 많다. 식단에서나 상차림 등에 일정한 규칙은 없는데, 대체로 먼저 찬 음식부터 먹고, 다음으로 따뜻한 음식을, 그리고 나서 후식 등을 먹는 것이 순서이다.
8. 이것은 조선 시대에 가마와 말을 관리하던 사람을 가리키는 말인데요. 이들은 왕이 행차할 때 몸을 과장되게 흔들며 앞길을 여는 일을 맡았다고 합니다. 오늘날 이것 난다는 표현은 재산이나 살림이 흔들려 없어지는 것을 뜻하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 거덜 나다
거덜은 조선시대에 가마나 말을 맡아보는 관청인 사복시(司僕寺)에서 말을 맡아보던 하인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거덜이 하는 일은 궁중의 행차가 있을 때 앞길을 틔우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말을 타고 길을 틔우는 거덜은 자연히 우쭐거리며 몸을 흔들게 되었다. 이 때문에 사람이 몸을 흔드는 것을 가리켜 ‘거덜거린다’, ‘거들먹거린다’ 하고, 몹시 몸을 흔드는 말을 ‘거덜마’라고 불렀다. 오늘날에는 살림이나 그밖에 어떤 일의 기반이 흔들려서 결딴이 나는 상황을 가리킬 때 ‘거덜 나다’라고 사용한다.
그러나 사복시 자체는 고려 때부터 시작되었다. 원래 고려 후기에 여마(輿馬)·구목(廐牧) 등의 일을 맡아보던 대복시(大僕寺)를 1308년(충렬왕 34년)에 상승(尙乘)·전목(典牧)·제목감(諸牧監)을 병합하면서 사복시라고 개칭했다.
1356년(공민왕 5년)에는 다시 대복시로 환원되면서 폐지되었다가 1362년 사복시로 다시 설치되었다. 1369년 대복시로 고쳤다가 72년 또 사복시로 바뀌어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따라서 사복시 자체는 고려 후기까지 올라갈 수 있으나 여기 근무하던 하인을 거덜이라고 불렀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이 어휘의 생성 시기를 조선 건국 연도로 잡았다.
9. '비바람이 치던 바다 잔잔해져 오면~'으로 시작하는 노래인 <연가>는 원래 이 나라 민요라고 합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이 나라 군인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며 부른 민요가 우리말로 번역돼 <연가>라는 노래로 재탄생됐는데요. 남태평양에 위치해 있으며, 원주민이 살고 있는 이 나라는 어디일까요?
정답 : 뉴질랜드
한국에서 '연가'라고 불리는 노래는 사실 참전 용사들이 6·25 전쟁 기간 동안 불렀던 마오리족의 노래인 포카레카레 아나(Pokarekare Ana)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서 6·25 전쟁 기간 동안 한국군과 뉴질랜드군이 합동작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문화적인 교류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0. 이것은 프랑스어로 '고정관념'을 뜻하는 말입니다. 원래 이것은 인쇄할 때 사용되는 납으로 만든 판을 뜻하는 인쇄용어였는데요. 이후 판에 박힌 듯한 문구나 표현을 이것이라 부르게 됐습니다. 특히 영화나 드라마에서 쓰이는 진부한 표현을 가리켜 이것이라 하는데 이것은 무엇일까요?
정답 : 클리셰(Cliché)
진부한 표현이나 고정관념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본래는 활자를 넣기 좋게 만든 연판(鉛版)을 뜻하는 인쇄용어였다. 그러다 19세기 말부터 별 생각없이 의례적으로 쓰이는 문구나 기법, 편견이나 전형(典型)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현대에서는 클리셰가 영화나 드라마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진부한 장면이나 판에 박힌 대화, 상투적 줄거리, 전형적인 수법이나 표현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영화나 드라마에 등장하는 주인공이 결정적 위기에 처한 순간 결정적인 순간 다른 인물에 의해 구출되는 장면을 들 수 있다. 또 악인이 자신에게 잡힌 주인공을 곧장 처치하지 않고 일장 연설을 늘어놓다 역습당하는 것도 클리셰에 해당한다.
클리셰는 익숙한 내용으로 친근감을 조성하기도 하지만, 클리셰가 남발될 경우 해당 작품을 진부하고 지루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클리셰가 계속 차용되는 것은 클리셰 안에 사회적 통념이 반영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퀴즈모음 >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8]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0) | 2021.05.17 |
---|---|
[037]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0) | 2021.05.10 |
[035]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0) | 2021.05.05 |
[034]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0) | 2021.05.04 |
[033] 유 퀴즈 온 더 블럭 퀴즈 모음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