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용어 설명]
(8품사) 명사(noun) |
모든 사람, 사물, 동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
(8품사) 대명사(pronoun) |
명사를 대신하는 단어 |
(8품사) 동사(verb) |
동작을 나타내거나 사람 또는 사물의 상태를 나타냄 |
(8품사) 형용사(adjective) |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충 설명하는 단어 |
(8품사) 부사(adverb) |
형용사, 다른 부사, 동사, 문장전체를 수식하는 단어 |
(8품사) 전치사(preposition) |
명사나 대명사 앞에 쓰여서 장소, 시간 등을 나타내는 단어 |
(8품사) 접속사(conjunction) |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 등을 연결하는 단어 |
(8품사) 감탄사(interjection) |
놀람, 기쁨 등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 |
주부와 술부 |
문장은 대게 '...은 ~ 이다', 또는 '...가 ~하다'의 형식을 취한다. 여기서 '...은, ...가'에 해당하는 부분을 주부라고 하고, '~이다, ~하다'에 해당하는 부분을 술부라고 한다. |
(문장의 4요소) 주어(subject) |
주부의 중심이 되는 말로서, 명사 및 그 상당어구가 주어가 된다. |
(문장의 4요소) (술어)동사(predicate verb) |
술부의 중심이 되는 말로서 주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
(문장의 4요소) 목적어(object) |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의 대상이 되는 말이다. 원칙적으로 명사 및 그 상당 어구가 목적어가 된다. |
(문장의 4요소) 보어(complement) |
주어의 의미를 보충하는 주격 보어(SC)와 목적어의 의미를 보충하는 목적격 보어(OC)가 있다. 보어는 원칙적으로 명사와 형용사 및 그 상당어구가 된다. |
구(phrase) |
둘 이상의 단어들이 모여서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등 하나의 품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 자체에 '주어+동사'의 관계가 없는 것이 절과 다른 점이다. |
절(clause) |
단어가 모여서 문장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에 '주어+동사'의 관계가 있는 것을 말한다. 그중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두 절이 문법상 대등한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정을 등위절이라 한다. 반면에, 하나의 절이 다른 절과의 관계에 있어서 명사, 형용사, 부사에 상당하는 역할을 할 때, 이 절을 종속절이라 하고, 이것을 거느리는 다른 절을 주절이라 한다. 종속절에는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이 있다. |
(문장의 5형식) 1형식(S+V) |
주어(S) + 완정자동사(V) |
(문장의 5형식) 2형식(S+V+SC) |
주어와 자동사만으로는 의사전달이 불충분하여 뒤에 주어의 상태를 보충 설명하는 보어를 포함한 문장 형식을 말한다. 이렇게 보어를 필요로 하는 자동사를 불완전자동사(2형식 동사)로 부른다. 이 때 보어로는 주로 형용사와 명사가 쓰인다. |
(문장의 5형식) 3형식(S+V+O) |
목적어를 가지는 타동사를 사용하는 문장을 말하며 목적어는 명사, 대명사, 명사구/절, 동명사, to부정사 등이 되어야 한다. |
(문장의 5형식) 4형식(S+V+IO+DO) |
목적어를 두 개 갖는 타동사를 사용하는 문장을 말하며 간접목적어(~에게), 직접목적어(~을/를) 둘을 가지는 4형식 동사로는 주로 수여동사(~에게 ~를 (해)주다)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
(문장의 5형식) 5형식(S+V+O+OC) |
목적보어로는 명사, 형용사, 동사원형, 현재분사, 과거분사, to부정사가 올 수 있다. 5형식의 특징은 목적어와 목적보어 관계가 '주어와 술어의 관계' 즉 '목적어는 목적보어다'의 관계가 성립된다. 목적어가 사람일 때 주어를 '~은/는/이/가'로 해석하면 자연스럽다. |
자동사(intransitive verb) |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주어에만 미치는 동사로 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가 없다. 목적어를 가지기 위해서는 전치사가 필요하다. |
타동사(transitive verb) |
동작의 대상인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로 타동사는 전치사 없이 바로 목적어를 갖는다. |
사역동사 |
문장의 주체가 자기 스스로 행하지 않고 남에게 그 행동이나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5형식 문형(S + V + O + OC)에서 let, make, have 등의 동사는 '주어가 목적어로 하여금 ~을 하게 하다'의 의미로 쓰일 수 있는데 이때 이를 사역동사라고 한다. |
지각동사 |
감각 기관을 통해 대상을 인식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 |
능동태(active voice) |
주어가 어떤 동작이나 작용을 스스로 하였을 때, 서술어가 취하는 형식. |
수동태(passive voice) |
주어가 어떤 동작의 대상이 되어 그 작용을 받을 때에, 서술어가 취하는 형식 |
to부정사(infinitive) |
부정사는 to+ 동사원형의 형태로 不定詞, 즉 그 쓰임이 정해지지 않은 동사를 의미한다. to부정사는 때로는 명사처럼, 때로는 형용사나 부사처럼 사용된다. to부정사의 to가 생략되어 사용하는 것을 원형부정사라고 한다. |
동명사(erund) |
동명사는 동사원형 + ing의 형태로 명사처럼 쓰인다. 단, 동명사는 명사와 달리 목적어를 가질 수 있다. |
분사(participle) |
분사에는 두 가지가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있다. |
명사절 |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는 절을 명사절이라 한다. |
형용사절 |
관계사가 이끄는 절로서 앞에 나온 명사를 수식한다. |
부사절 |
문장 속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면서, 시간 • 원인 • 조건 • 양보 • 목적 • 결과 등의 뜻을 나타낸다. |
가정법 |
가정이나 소망의 내용을 말할 때는 '사실'을 말할 때와 다른 동사의 형태를 취한다. 이것을 가정법이라 한다. |
관사 |
관사는 명사 앞에 붙어서 그 명사의 뜻에 제한을 두는 낱말이다. 영어에는 부정관사 a(an)와 정관사 the 가 있다. 처음 언급되는 단수명사에는 부정관사가 붙고, 이미 언급된 것을 나타내는 명사에는 정관사가 붙는다. |
재귀대명사 |
문장에서 주어가 하는 일 또는 주어의 목적어가 바로 주어 자신과 관계될 때 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쓰는 인칭대명사. |
지시대명사 |
지시대명사는 앞서 말한 명사 또는 눈에 보이는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대명사. |
등위접속사 |
등위접속사는 문법상 대등한 관계에 있는 낱말과 낱말, 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
상관접속사 |
상관 접속사는 둘 이상의 단어가 반드시 짝을 이루어 함께 쓰여야 하는 접속사. |
접속부사 |
접속부사는 말 그대로 부사이므로 절과 절을 연결하는 기능을 할 수 없다. 즉 기능적으로 두 절을 연결 할 수는 없지만 접속의 의미를 넣어주는 부사라고 할 수 있다. 접속사 역할은 하는 세미콜론이나 콤마와 함께 사용되거나 and 등의 다른 접속사 뒤에서 사용된다. |
[사전식 약어 표현]
S - Subject. 주어
V - Verb. 동사
O - Object. 목적어
C - Complement. 보어
IO - Indirect Object. 간접 목적어
DO - Direct Object. 직접 목적어
SC - Subject Complement. 주격 보어
OC - Object Complement. 목적(격) 보어
p - past 과거
pp - past participle 과거분사
R - The root of Verb 동사 원형
n: noun(명사)
v: verb(동사)
vi : verb intransitive (자동사)
vt : verb transitive (타동사)
adj. (또는 a.) : adjective(형용사)
adv. (또는 ad.) : adverb(부사)
prep.: preposition(전치사)
abbr. : abbreviation (약어)
sing. : singular (단수)
pl. : plural (복수)
pron. : pronoun (대명사)
C. : Countable noun (가산명사)
C : Complement (보어)
U : Uncountable noun(불가산 명사)
conj. : conjunction (접속사)
det. : determiner (한정사)
sb. : somebody (어떤 사람)
sth. : something (무엇)
'영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 쓰는 라틴어 관용구 (2) | 2024.03.22 |
---|---|
알아두며 유용한 영어 줄임말 (0) | 2020.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