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공부

[영어 기초] 영어 용어 모음(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형용사 등)

반응형

품사와 문장 요소간의 관계 도표


[영어 용어 설명]

 

(8품사) 명사(noun)

모든 사람, 사물, 동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 문장에서 주어, 보어, 목적어가 된다.
Edison, book, tiger, English, love, water

(8품사) 대명사(pronoun)

명사를 대신하는 단어
인칭대명사 : I, my, me, mine, myself, she, her, he, his, him
지시대명사 : it, this, these, that, those

(8품사) 동사(verb)

동작을 나타내거나 사람 또는 사물의 상태를 나타냄
be
동사 : am, are, is, was, were
조동사 : can, may, will, should, must
일반동사 : be동사와 조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동사

(8품사) 형용사(adjective)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충 설명하는 단어
※ 우리말에서 보통 < ~, ~한> 으로 해석되는 단어
kind, handsome, beautiful, delicious, interesting

(8품사) 부사(adverb)

형용사, 다른 부사, 동사, 문장전체를 수식하는 단어
very, slowly, fortunately

(8품사) 전치사(preposition)

명사나 대명사 앞에 쓰여서 장소, 시간 등을 나타내는 단어
in, on, at, from, to, by, with

(8품사) 접속사(conjunction)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 등을 연결하는 단어
and, or, but, because, when, if

(8품사) 감탄사(interjection)

놀람, 기쁨 등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
oh, wow, oops

주부와 술부

문장은 대게 '...은 ~ 이다', 또는 '...가 ~하다'의 형식을 취한다. 여기서 '...은, ...가'에 해당하는 부분을 주부라고 하고, '~이다, ~하다'에 해당하는 부분을 술부라고 한다.

(문장의 4요소) 주어(subject)

주부의 중심이 되는 말로서, 명사 및 그 상당어구가 주어가 된다.

(문장의 4요소) (술어)동사(predicate verb)

술부의 중심이 되는 말로서 주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문장의 4요소) 목적어(object)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의 대상이 되는 말이다. 원칙적으로 명사 및 그 상당 어구가 목적어가 된다.
'~을[를] 로
해석되는 직접목적어(DO)와 '...에게'로 해석되는 간접목적어(IO)가 있다.

(문장의 4요소) 보어(complement)

주어의 의미를 보충하는 주격 보어(SC)와 목적어의 의미를 보충하는 목적격 보어(OC)가 있다. 보어는 원칙적으로 명사와 형용사 및 그 상당어구가 된다.

(phrase)

둘 이상의 단어들이 모여서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등 하나의 품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 자체에 '주어+동사'의 관계가 없는 것이 절과 다른 점이다.

(clause)

단어가 모여서 문장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그 자체에 '주어+동사'의 관계가 있는 것을 말한다. 그중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두 절이 문법상 대등한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정을 등위절이라 한다. 반면에, 하나의 절이 다른 절과의 관계에 있어서 명사, 형용사, 부사에 상당하는 역할을 할 때, 이 절을 종속절이라 하고, 이것을 거느리는 다른 절을 주절이라 한다. 종속절에는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이 있다.

(문장의 5형식) 1형식(S+V)

주어(S) + 완정자동사(V)
주어와 동사만으로 의사전달이 끝나는 문장을 말하며 1형식에 쓰이는 동사는 완전자동사이므로 뒤에 목적어도 주격보어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1형식 문장에서 동사 앞뒤에서 수식어로 대개 부사나 부사구가 쓰이는데 문장의 의미를 자세하게 해 줄 뿐,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니다.

(문장의 5형식) 2형식(S+V+SC)

주어와 자동사만으로는 의사전달이 불충분하여 뒤에 주어의 상태를 보충 설명하는 보어를 포함한 문장 형식을 말한다. 이렇게 보어를 필요로 하는 자동사를 불완전자동사(2형식 동사)로 부른다. 이 때 보어로는 주로 형용사와 명사가 쓰인다.

(문장의 5형식) 3형식(S+V+O)

목적어를 가지는 타동사를 사용하는 문장을 말하며 목적어는 명사, 대명사, 명사구/, 동명사, to부정사 등이 되어야 한다.

(문장의 5형식) 4형식(S+V+IO+DO)

목적어를 두 개 갖는 타동사를 사용하는 문장을 말하며 간접목적어(~에게), 직접목적어(~을/를) 둘을 가지는 4형식 동사로는 주로 수여동사(~에게 ~를 ()주다)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문장의 5형식) 5형식(S+V+O+OC)

목적보어로는 명사, 형용사, 동사원형, 현재분사, 과거분사, to부정사가 올 수 있다. 5형식의 특징은 목적어와 목적보어 관계가 '주어와 술어의 관계' '목적어는 목적보어다'의 관계가 성립된다. 목적어가 사람일 때 주어를 '~///'로 해석하면 자연스럽다.

자동사(intransitive verb)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주어에만 미치는 동사로 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가 없다. 목적어를 가지기 위해서는 전치사가 필요하다.

타동사(transitive verb)

동작의 대상인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로 타동사는 전치사 없이 바로 목적어를 갖는다.

사역동사

문장의 주체가 자기 스스로 행하지 않고 남에게 그 행동이나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5형식 문형(S + V + O + OC)에서 let, make, have 등의 동사는 '주어가 목적어로 하여금 ~을 하게 하다'의 의미로 쓰일 수 있는데 이때 이를 사역동사라고 한다.

지각동사

감각 기관을 통해 대상을 인식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
see, watch, hear, feel, notice
등이 있다.

능동태(active voice)

주어가 어떤 동작이나 작용을 스스로 하였을 때, 서술어가 취하는 형식.

수동태(passive voice)

주어가 어떤 동작의 대상이 되어 그 작용을 받을 때에, 서술어가 취하는 형식
※목적어가 필요 없는 자동사는 원칙적으로 수동태로 쓰일 수 없다.

3형식
수동태 (S + be p.p. + (M))
'be + p.p + (by
행위자)'가 수동태의 기본 문형이다. 기본적으로 문장을 해석해서 주어가 능동인지 수동인지를 확인한다. 수동태 뒤는 주로 by, in 등의 전치사 구문, 또는 부사()가 이어지고, 능동태 뒤는 목적어(명사)가 온다.

4형식
수동태 (S + be p.p. + O)
목적어를 두 개 가지는 4형식 동사가 수동태가 될 때는 목적어 중 한 개는 수동태 동사 뒤에 남는다.

5형식
수동태 (S + be p.p. + C)
목적어와 목적보어를 가지는 5형식 동사가 수동태가 될 때는 목적어보어가 수동태 동사 뒤로 연결된다.

to부정사(infinitive)

부정사는 to+ 동사원형의 형태로 不定詞, 즉 그 쓰임이 정해지지 않은 동사를 의미한다. to부정사는 때로는 명사처럼, 때로는 형용사나 부사처럼 사용된다. to부정사의 to가 생략되어 사용하는 것을 원형부정사라고 한다.

동명사(erund)

동명사는 동사원형 + ing의 형태로 명사처럼 쓰인다. , 동명사는 명사와 달리 목적어를 가질 수 있다.

분사(participle)

분사에는 두 가지가 현재분사와 과거분사가 있다.
현재분사는 동사원형 + ing의 형태로 주로 진행형을 만들 때 사용하지만, 능동적 의미일 경우 명사의 앞이나 뒤에 와서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과거분사의 형태는 보통 동사 뒤에 -ed를 붙이지만, 불규칙적으로 변하는 것들이 있다. 과거분사는 완료형을 만들 때 사용하며. 수동태를 만들 때도 과거분사를 쓴다. 그리고 과거분사 역시 현재분사처럼 명사의 앞이나 뒤에 와서 명사를 꾸며 주는 형용사처럼 쓰인다. 다만 현재분사와는 다르게 수동적 의미일 경우에 형용사처럼 쓸 수 있다.

명사절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는 절을 명사절이라 한다.

명사절을 이끄는 연결어는 다음과 같다.
접속사 : that, whether, if
의문사 : who, when, where, what, how, why, which
관계대명사 : what
복합관계대명사 : whoever, whichever, whatever

형용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로서 앞에 나온 명사를 수식한다.
관계사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형용사절을 이끌어 그 앞의 명사를 수식하는 것이다.
관계사에는 접속사 및 대명사의 역할을 하는 관계대명사와 접속사 및 부사의 역할을 하는 관계부사가 있다.

부사절

문장 속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면서, 시간 • 원인 • 조건 • 양보 • 목적 • 결과 등의 뜻을 나타낸다.

가정법

가정이나 소망의 내용을 말할 때는 '사실'을 말할 때와 다른 동사의 형태를 취한다. 이것을 가정법이라 한다.

관사

관사는 명사 앞에 붙어서 그 명사의 뜻에 제한을 두는 낱말이다. 영어에는 부정관사 a(an)와 정관사 the 가 있다. 처음 언급되는 단수명사에는 부정관사가 붙고, 이미 언급된 것을 나타내는 명사에는 정관사가 붙는다.

재귀대명사

문장에서 주어가 하는 일 또는 주어의 목적어가 바로 주어 자신과 관계될 때 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쓰는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지시대명사는 앞서 말한 명사 또는 눈에 보이는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대명사.
지시대명사 : this, that, these, those

등위접속사

등위접속사는 문법상 대등한 관계에 있는 낱말과 낱말, 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등위접속사 : and, but, or, for, so

상관접속사

상관 접속사는 둘 이상의 단어가 반드시 짝을 이루어 함께 쓰여야 하는 접속사.
상관 접속사
both A and B - A
B 둘 다
neither A nor B - A
B도 아닌
either A or B - A, B
둘 중 하나
not A but B - A
가 아니라 B
not only[just, merely] A but (also) B - A
뿐만 아니라 B (=B as well as A)

접속부사

접속부사는 말 그대로 부사이므로 절과 절을 연결하는 기능을 할 수 없다. 즉 기능적으로 두 절을 연결 할 수는 없지만 접속의 의미를 넣어주는 부사라고 할 수 있다. 접속사 역할은 하는 세미콜론이나 콤마와 함께 사용되거나 and 등의 다른 접속사 뒤에서 사용된다.
접속부사
besides
게다가
neverthel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therefore
그러므로
then 그리고
나서 , 그 때
however
그러나
furthermore 더우기
otherwise
그렇지 않으면, 달리
consequently
결과적으로
moreover
더욱이
meantime/meanwhile
그동안, 한편
hence
그러므로

 


 

[사전식 약어 표현]

 

S - Subject. 주어

V - Verb. 동사

O - Object. 목적어

C - Complement. 보어

IO - Indirect Object. 간접 목적어

DO - Direct Object. 직접 목적어

SC - Subject Complement. 주격 보어

OC - Object Complement. 목적() 보어

p - past 과거

pp - past participle 과거분사

R - The root of Verb 동사 원형

n: noun(명사)

v: verb(동사)

vi : verb intransitive (자동사)

vt : verb transitive (타동사)

adj. (또는 a.) : adjective(형용사)

adv. (또는 ad.) : adverb(부사)

prep.: preposition(전치사)

abbr. : abbreviation (약어)

sing. : singular (단수)

pl. : plural (복수)

pron. : pronoun (대명사)

C. : Countable noun (가산명사)

C : Complement (보어)

U : Uncountable noun(불가산 명사)

conj. : conjunction (접속사)

det. : determiner (한정사)

sb. : somebody (어떤 사람)

sth. : something (무엇)

 

반응형

'영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 쓰는 라틴어 관용구  (2) 2024.03.22
알아두며 유용한 영어 줄임말  (0) 2020.09.17